모르타라 납치사건
데이비드 I. 커처 지음, 허형은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모르타라 납치 사건

1.안나 모리시
가톨릭 신자, 글자도 모르는 가난한 하녀, 14살 혹은 19살에 주인집 아이 에드가르도가 죽을 것 같아, 몰래 물방울을 뿌리며 세례. 자신에게 세례를 부추긴 이가 상점주인이라고 증언. 지참금을 받기 위해 신부에게 고해성사 중, 주인집에 앙심을 품고 혹은 신부에게 환심을 사기 위해 거짓증언을 했을 수도 있음. 그러나 아무 처벌도 받지 않음.

2.마리안나 파도바니 모르타라
9명 아이의 엄마, 유대인, 6살 에드가르도를 갑자기 들이닥친 교황청 헌병대에 빼앗김. 길고 긴 싸움을 하지만 결국 아들 에드가르도를 되찾지 못함.

3.모몰로 모르타라
유대인, 에드가르도의 아버지, 아들을 찾으려 각고의 노력을 하지만 결국 재산도 건강도 잃음. 후에 하녀가 자살하지만, 유대인이란 이유로 살인범으로 몰림(거동이 불편하며, 하녀를 들어 올려 창밖으로 던질 힘조차 없음에도, 유대인이란 이유로 7개월간 감옥에 갇히며, 무죄로 풀려나고 1 달 뒤 사망)

4.에드가르도 모르타라
6살에 끌려가 교황의 특별한 보호와 관심 속에 결국 가톨릭 사제가 됨. 부모에게 끈질기게 개종할 것을 편지로 써 보냄.

시대 배경 : 계몽주의가 대두하면서 가톨릭이 이제까지 해오던 반유대주의와 미신 광신등에 의문을 품게 됨. 교황 권위의 약화와 시민평등 의식 등에 눈을 뜨던 시대.
오스트리아와 프랑스, 교황령, 그리고 카보오르 등 다양한 정치 세력 등이 이용한 사건.

가톨릭 세례를 받은 이는 유대교 집안에서 자랄 수 없음, 유대인 개종은 특별한 의미가 있으며 개종을 시킨 자는 구원받을 수 있다는 근거없는 믿음이 만연함.
(유대인 부모 몰래 세례 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됨)

교리문답의 집: 세례 받은 이, 혹은 개종을 원하는 이들은 이 곳에 머물면서 공부 후 진정한 가톨릭 교인으로 거듭나게 됨.

마을에서 아이가 죽거나 흉흉한 사건이 벌어져도, 혹은 내가 살인을 저질러도 걱정할 필요가 없던 시대다. 저 유대인이 그랬어요, 혹은 게토에 살던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명절의식에 필요한 가톨릭인의 피가 필요해서 저질렀을거예요 면 끝이다. 유대인들의 터전은 쑥대밭이 되고, 유대인들의 죽음엔 책임도 재판도 형식적일 뿐.
부패한 기득권이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는데 가장 싸게 먹히는 방법이 바로 혐오다.
마녀와 마법사, 이교도, 유대인들, 집시들, 유색인종들.
그들의 눈에 달라 보이는 이들, 혹은 힘없는 이들은 언제나 써 먹기 좋은 카드일 뿐이다. 뿌리깊이 내린 인종 차별, 유대인에 대한 멸시는 모몰로 모르타라가 하녀를 살해했다는 혐의로 말년에 끌려간 재판에서도 알 수 있다. 피고인 피의자가 아닌 유대인 모르타라로 불리는 재판은 끝까지 말도 안 되는 증거로 그를 괴롭힌다. 왜? 그는 그러고도 남을 유대인이기 때문이다. 유대인이기에 주변 이웃들은 위증도 불사한다. 그들은 그럴 수 있는 이들이라 믿기 때문이다. 풀려나도 무죄여도 그들은 깨끗할 수 없다. 처음부터 그들은 깨끗할 리 없는 유대인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다른 이름으로 불리겠지. 그리고 외면하겠지 오멜라스의 아이처럼.
책을 읽는 이유 중 하나가 아닐까. 눈을 뜨기 위해 타인을 공감하기 위해. 아픔과 고난과 차별을 읽고 분노의 힘으로 좀 더 다르게 살기 위해 노력하는 것.
( 실제 내가 쓴 건 아주 일부분. 교황과 유대인 단체 새로운 계몽주의와 정치 세력 등에 대한 이야기 등 훨씬 많은 정보와 이야기가 담겨있다. 역사학자가 쓴 책, 마르탱 게르의 귀향과 그 결이 비슷하다고 하는데 개인에게 일어난 특별한 사례를 그 시대배경 등 반영해서 세세하게 풀어낸 점이 닮았다고 볼 수 있을 듯. 스필버그감독이 영화화한다는데 기대된다 ~)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8-10 17:5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1등.🖐

mini74 2021-08-10 18:05   좋아요 4 | URL
스콧님 손에 하이파이브! 하고 싶네요 ㅎㅎ 고맙습니다 ~~

그레이스 2021-08-10 18:14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유대인들을 소재로 한 문학은 무궁무진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들의 디아스포라와 고난은 모든 문학과 예술에서 다뤄질 비극...ㅠ
카프카는 유대전통을 모두 버리기로 했을만큼 고통이 되었나봐요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만들어낼 만큼 존재에 대한 질문을 만들어 내는 역사인듯요

mini74 2021-08-10 18:25   좋아요 6 | URL
카프카가 그랬군요. ㅠㅠ프랑크푸르트 학파 ㅠㅠ 제겐 오규원 시에서 하버머스 1200원 해서 찾아 본 기억만 ~~ 카프카보다 비싸네 했던 ㅎㅎ 그래도 그레이스님 덕분에 이리저리 검색하며 알아가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새파랑 2021-08-10 19:02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왜 언제나 어느 집단은 어느 집단을 증오해야 하는지 참 의문이에요. 같이 살아가면 안되는지 ㅡㅡ 무언가를 구분하는게 참 무서운거 같아요

mini74 2021-08-10 19:14   좋아요 6 | URL
증오를 부추기기도 하는 것 같아 읽으면서 속상했어요 ㅠ

청아 2021-08-10 19:29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어머어머♡ ‘읽고 싶던 책인데‘하고 생각해보니 미니님 페이퍼에서 본 책ㅎㅎㅎ실화를 바탕으로 쓴 책이라던데 영화 저도 기대됩니당😉

mini74 2021-08-10 19:47   좋아요 5 | URL
시대배경이랑 역사적 사실이 많은 분량을 차지해요. 저도 기대됩니다 *^^*

페넬로페 2021-08-10 20:0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뭔가를 덧씌워 공동체에서 몰아가면 어느 누구도 희생양이 될 수 있을것 같아요.
어느 시대 어느 지역에서건 유대인이 핍박 받았지만 지금의 팔레스타인 지역의 행동에 또 분노가 일어나네요 ㅠㅠ

mini74 2021-08-10 20:12   좋아요 5 | URL
그게 참 모순인거 같아요. 자신들의 역사를 생각하면 그런 행동을 못 할 거 같은데 말이죠 ㅠㅠㅠ

서니데이 2021-08-10 20:20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스필버그 감독이 영화화 한다니 책이 재미있을 것 같은데요.
mini74님, 시원하고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mini74 2021-08-10 20:36   좋아요 5 | URL
고맙습니다 *^^* 서니데이님도 허니뻥과 함께 달콤한 저녁 보내세요. 저는 죠리퐁 먹고있습니다 ㅎㅎ

scott 2021-08-11 10:3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우와 ! 등장 인물이 이렇게 많다니
스필버그 옹이 분명판권을 사갔으니 곧 영상으로도 볼 수 있겠죠?

제가 몇년전에 읽은 논픽션에( 프리랜서 기자가 잠입 취재한)아랍 무슬림 가정에서 자란 소년이 종교의 잔혹함(누나가 친척들 돌팔매로 ㅠ.ㅠ)을 목격하고 스스로 바티칸으로 들어가 사제 과정으로 들어갑니다
미니님 처럼 저도 끊임없이 읽는 이유가[눈을 뜨기 위해 타인을 공감하기 위해. 아픔과 고난과 차별을 읽고 분노의 힘으로 좀 더 다르게 살기 위해 노력하는 것]

이책 표지만 보고 헤세의 [데미안]울만의 [동급생] 같은 분위기 인 줄 알고 건너 뛰었는데 ㅎㅎ

[ 마르탱 게르의 귀향]과 결이 비슷하다는 말씀에 후다닥 장바구니로 ~@@@

mini74 2021-08-11 10:27   좋아요 1 | URL
종교가 참 ㅠㅠ 무슬림 돌팔매나 여성들에게 종교의 이름으로 가하는 걸 보면 ㅠㅠ 영화화 된다니 누가 어떤 배역을 맡게 될지 궁금해요. *^^*

바람돌이 2021-08-11 01: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17, 18세기 사회상황이 왠지 굉장히 잘 나올거 같네요. 이 소설 실화를 소설로 쓴거라고 하던데 이런 내용이었군요. 급 관심갑니다. ^^

mini74 2021-08-11 10:26   좋아요 1 | URL
작가분이 역사가여서인지 주변과 사대상황을 쓰는데 많운 공을 들이신 거 같아요. 그 덕에 교황의 행동이나 주변인들의 태도 등에 대해 이해하기가 쉬웠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