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흰 도시 이야기
최정화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8월
평점 :
2016년 2월 첫 소설집「지극히 내성적인」으로 일그러지는 균열을 보여주시며 인상적으로 남았던 최정화작가님.
2016년 12월 첫 장편소설 「없는 사람」을 읽으면서는 마치 영화DVD의 본편과 부가영상을 보는 듯한 기분이 들었고 2018년 7월에는 두번째 소설집 「모든 것을 제 자리에」을 읽으며 한층 더 두터워진 불안과 더 깊은 균열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2019년 8월 말에 두번째 장편소설 「흰 도시 이야기」가 출간되어서 최정화작가님의 작품이 나올 때마다 줄곧 읽었던 저로서는 읽지 않을 이유가 전혀 없었습니다.
사실 이 소설은 문학동네 네이버 카페에 「고요를 만나면」이라는 제목으로 연재가 되었는 데 제목이 「흰 도시 이야기」로 바뀌어서 연재당시에 읽어보지 않아서 의아했지만 읽어보니 확실히 「흰 도시 이야기」로 바뀌는 것이 더 좋았습니다.
기억을 왜곡하고 손에서 하얀 각질이 생겨서 마침내 손이 잘려나가며 전염성이 강한 이른바 다기조병에 잠식당한 L시의 교역소에서 일하던 이동휘역시 다기조병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기억을 잃고 손이 잘려나가는 데 그러던 중 모래마을을 찾아가서 만난 희라와 점점 앞이 보이지 않던 와중에도 보이던 아이로 인해 자신에게 딸과 아내가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고 그 것을 잃지 않기 위해 또 딸인 이고요를 만나기 위해 교역소에 자의적인 타의로 해고당하고 진실을 은폐하며 과거를 삭제하는 L시에 맞서 싸우는 ‘흰개들‘이 거주하는 모래마을에 들어가게 되는 이야기인 데 앞서 읽었던 「두 방문객」의 김희진작가님의 표지가 매력적이었던 첫 소설집 「욕조」에 실린 (혀)라는 단편에서 혀가 입에서 분리되어 둥둥 떠다니는 모습이 인상 깊었는 데 실제로 신체의 일부에서 갈라지고 손이 잘려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어린 시절 겨울만 되면 어김없이 손이 트곤 했던 제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한동안 괜찮았는 데 또 다시 추운 겨울이 되면 속수무책으로 손이 트게 되었는 데 다가올 이번 겨울에는 손이 안 트면 좋겠어서 보습에 신경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상 음성, 불규칙적인 과호흡, 신체 말단 부위의 근육 소실증, 가벼운 건망 증세, 갈증, 기침, 단기 기억상실, 허언증, 청색증, 자기 인식 불능, 신체 말단 부위의 각질화가 생기는 다기조 초기와 신체 말단 부위의 건조와 소실, 주변 인물 기억 상실, 선택적 주의력 결핍,
선택적 주의력 집중, 일정 기간의 시력 상실, 감각의 재배치가 되는 중기의 다기조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정말 끔찍하고 불안이 증폭될 것 같아요.
최정화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929/pimg_766112156231172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929/pimg_766112156231172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