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이디스 워튼의 공포소설 모음집이라고 할 수 있는 <거울>의 공포는 어딘가 쓸쓸하고 외롭고 황량하고 서글프다. 슬픔과 외로움을 왔다갔다 한다고 할까. '현대문학 세계문학 단편선' 중 한 편인 <몬터규 로즈 제임스>에 나오는 몬터규 로즈 제임스의 공포소설들과 비교해보면, 차이가 명확히 드러난다. 몬터규 로즈 제임스의 공포 소설에서 유령들은 어둡고 사악한 존재들이다. 그에 비해 이디스 워튼의 공포소설에서 유령들은 외롭고 쓸쓸하고 어딘가 서글프다. 물론 무섭고 섬뜩한 부분이 있지만, 그 무서움은 몬터규 로즈 제임스의 공포소설들의 공포 보다는 어두움이 덜하고 공포스러움이 약하다. 하나 더 내가 생각한 것은 이 소설들의 여백이다. 작가가 말하지 않고, 비어있는 이야기의 여백이 이 책의 소설들에는 상당부분 존재한다. 당연하게도 그 여백을 채우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열려 있는 텍스트 같은 느낌이랄까. 내가 생각하기에 소설의 여백은 이 공포소설들의 장르스러움을 약화시키고 문학성을 강화시킨다. 결국 나는 이디스 워튼의 문학적인 공포소설 모음집을 본 느낌이다. 공포소설이지만 장르문학 같지 않은 문학의 향취를 강하게 풍기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책의 첫 단편소설을 읽었을 때는 '지극히 도스토예프스키적인데 유머러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다음 소설들에서는 도스토예프스키적인 인물들의 서글픈 드라마 같은 느낌이었고, 마지막 두 편의 소설들인 <백야>와 <꼬마 영웅>의 경우에는 감탄했다. 특히 <꼬마 영웅>은 투르게네프의 <첫사랑>과 비견될 정도로, 유년기를 다룬 좋은 소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읽은 도스토예프스키의 단편, 중편 중에서 가장 훌륭한 소설이라고 생각될 정도로. 어쨌든 도스토예프스키적이면서 도스토예프스키적이지 않은(??) 단편들을 읽으면서 역시 도스토예프스키의 문학세계가 넓고 깊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도스토예프스키가 더 복잡한 작가구나 하는 생각과 더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책을 읽는 게 생각보다 시간이 너무 걸렸다. 읽다가 책을 덮고, 읽다가 책을 덮고 하면서. 나만 이렇게 이 책이 안 읽히나. 이 책에 관련된 다른 블로그 글을 보고, 그 글을 쓴 이도 나처럼 '이 책이 읽히지 않더라'는 말을 해서 안심이 됐다. 나 혼자만 이 책이 읽히지 않은 건 아니구나. 이 책은 다른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과는 다르다. 다른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이 현실감보다는 도스토예프스키만의 독특한 관념과 사상과 사고로 빛난다면, 이 책은 당대 현실과 딱 붙어서 엄청난 현실감을 자랑한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시베리아 유형 생활을 기반으로 만든 소설답게. 물론 그 현실도 도스토예프스키라는 필터로 걸러져서 문학적으로 재창조된 현실이긴 하지만. 근데 그 현실이라는 게, 감옥과 감옥에서 사는 죄수들의 현실이라는 것이 이 소설의 특징이다. 죄수들의 현실과 죄와 벌의 문제의 앙상블. 죄와 벌의 문제라는 도스토예프스키식 주제와 현실성이라는 도스토예프스키 답지 않은 특징이 맞물리면서 빚어지는 소설. 죽음과도 같은 그 현실의 심연을 들여다보며 나는 어떤 곳에서든 인간은 인간으로서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그게 도스토예프스키가 이 소설을 쓰면서 한 생각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하)>를 읽음으로써 도스토예프스키의 5대 장편소설(백치,미성년,죄와벌,악령,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을 다 읽게 됐다. 다 읽고 나니 감회가 새롭다. 특히나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같은 경우는 도스토예프스키의 마지막 작품이자 도스토예프스키 작품 세계의 총결산 같은 작품이라서, 이 소설을 읽은 것 자체가 의미 있다. 도스토예프스키가 구축한 '도스토예프스키 제국'이라는 그의 문학 세계를 열심히 탐험하고 탐험을 끝낸 느낌이랄까. 개인적으로 '도스토예프스키 제국'을 '관념의 제국'이라는 말로 바꿔도 될 것 같다. 현실적으로 살아 숨쉬는 인물들의 세계가 아니라 도스토예프스키 내면의 관념들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느낌의 관념의 제국. 도스토예프스키의 문학 속에서는 인물들의 현실감이 약하다. 대신에 도스토예프스키 내면의 관념들이 형상화된 독특한 느낌이 있다. 아마도 그 독특함이 인물들의 매력을 형성하는 것이 아닐까. 그 매력이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을 읽게 만드는 힘이 아닐까. 어쩌면 그건, 도스토예프스키식의 '문학적 생명력'이자 '문학적 살아 있음'일 것이다. 그 매력에 빠져든다면, 쉽게 헤어나오지 못하고 그 세계에서 헤맬 수밖에 없다. 나 자신이 그랬으니까.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을 다 읽은 지금, 다시 도스토예프스키의 세계가 그리워진다. 광적이고, 열정적이고, 순수하고, 비열하고, 선하고, 종교적이고, 철학적이고, 정치적이고, 어둡고, 우울하고, 밝고, 극단적인 그 세계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oren 2020-02-06 16: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 가운데 맨 처음으로 읽은 게 <까라마조프 형제들>이어서 ‘도스토예프스키의 문학세계‘를 더욱 강렬하게 느꼈던 것 같아요. 그런데 너무 어린 나이에(열아홉 살 때) 도스토예프스키를 만난 탓에, 일견 무섭기도 한 그의 작품 세계에 너무 빠져들까봐 다른 작품들을 오랫동안 펼쳐보지 못했던 아쉬움이 있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 가운데 제가 두 번째로 읽은 <죄와 벌>은 도스토예프스키와의 첫 만남 이후 무려 39년 만이더군요. <죄와 벌>에 대해서는 작품을 소개하는 동영상까지 직접 만들어 올렸기 때문에 두고두고 기억에 남을 작품으로 남을 듯합니다.^^
https://youtu.be/2URH19RUq3A

짜라투스트라 2020-02-07 16:56   좋아요 1 | URL
그렇군요.^^
 

이 책을 다 읽고 급격히 피로감이 몰려왔다. 내 몸이 피곤해서 그런가, 아니면 책의 무게감이 장난 아니라서 그런가. 아버지 살인범으로 몰린 드미뜨리에 대해, 읽으면서 엄청난 반박을 해서 그런가. 아니면 도스토예프스키식 유신론 옹호에 대한 조금 다른 생각을 머릿속으로 너무 많이 해서 그런가.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이 책을 읽고 조금 쉬는 시간을 가지면서 (하)권 읽을 준비를 해야겠다. (하)권 읽기를 미룰 수는 없다. 내친김에 다 읽어야 하기 때문에. 그리고 이 책을 읽고 <안나 카레니나>라는 대작이자 걸작이 또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