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사진 한 장 - 사랑하는 나의 가족, 친구에게 보내는 작별인사
베아테 라코타 글, 발터 셸스 사진, 장혜경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나는 지금 요양병원의 한 병실에서 이 책을 읽고 있다. 촘촘이 놓인 병실 침대마다 병문안을 온 가족들로 분주하다. 살아있는자들의 피곤과 죽음을 기다리는 자들의 절망과 공포, 그 사이를 오가는 병원 관계자들의 평온함이 마치 수프처럼 뒤섞여 그로테스크한 모습을 연출한다. 병상에 누인 환자들은 그들 나름의 방식으로 죽음을 준비하고 있다. 하루 종일 신음을 내뱉거나, 목 안에 고인 가래를 옅은 호흡으로 연신 밀어내거나, 수발을 드는 가족에게 분노의 눈초리를 쏘아보내거나, 알아 듣기 힘든 말을 하염없이 외치거나, 이미 목숨이 끊어진 사람처럼 미동도 하지 않는 등의 방식으로 죽음의 개별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살아갈 때 저마다의 삶은 다들 비슷해 보이지만 죽음을 준비하는 모습은 제각각일 수밖에 없다. 그들에게는 더 이상 감추어야 할 게 없는 까닭이다. 이곳은 마치 삶과 죽음의 중간지대쯤에 속하는 듯 곳곳에 놓인 도구들이 마치 신기루처럼 보인다. 나는 지금 아버지의 침대 옆에서 이 책을 읽고 있다.

 

<마지막 사진 한 장>은 독일의 전문 사진작가인 발터 셸스와 저널리스트 베아테 라코타가 호스피스 병원에서 죽음을 기다리는 23인의 환자들을 만난 기록들이다. 나는 이 책을 요양병원의 병실에서 읽게 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었다. 삶의 마지막 순간을 준비하는 사람들 곁에서 삶의 마지막을 기록한 책을 읽는다는 것은 잘 어울리는 듯하면서도 생뚱맞다. 적어도 나처럼 살아 있는 자에게는 그렇다. 그것은 마치 죽어가는 환자들을 비웃는 듯 보이기도 하고 빨리 죽었으면 하고 바라는 듯한 인상을 주기도 한다.

 

책에서는 나란히 암에 걸린 엄마와 아들이 벌이는 힘겨운 투병과 아름다운 결별, 수없이 자살을 시도했던 한 여인이 마지막 순간에서야 미치도록 살고 싶다고 외치는 절규, 두 딸의 행복이 유일한 소망이라고 말하는 한 여인의 죽음, 친구의 두려움을 달래주려 매일같이 병원에서 파티를 열어주는 따뜻한 우정, 죽음도 변화로 받아들이며 즐거운 결말을 꿈꾸는 한 워커홀릭의 기다림 등 삶의 모습과는 대조적인 다양한 죽음이 등장한다. 우리는 살아 있는 동안 '다들 그렇게 사는 것처럼 다들 그렇게 죽어가겠지.' 생각한다. 그러나 보편적 삶은 있어도 보편적 죽음은 존재하지 않음을 이 요양병원의 풍경에서 깨달았다.

 

"죽음은 영원하지 않아요. 삶 역시 짧지요. 숨을 쉴 때마다 우리는 조금씩 죽음을 향해 다가갑니다. 그리고 죽은 후 신에게로 가면 우리는 더 아름다워집니다. 마지막 순간이 결정합니다. 아직 한 사람에게 집착하는 마음이 남아 있으면 다시 돌아오지요." (p.202)

 

아버지는 잠깐잠깐 잠들었고, 그러다가도 생각난 듯 문득 눈을 떴고, 이따금 여기가 어디냐 물었고, 답답한 듯 이따금 일어나 앉으려 했다. 코에 꼽은 산소호흡기줄과 아주 천천히 방울방울 떨어지는 수액줄과 각종 검사를 위한 도구들이 발목에서부터 얼굴에 이르기까지 온몸을 옥죄고 있는 까닭에 돌아누울 때마다 신음을 내뱉곤 한다. 옆 침상에서는 간혹 환자 자신이 믿었거나 가족들의 부탁이 있었던 것인지 약식 종교행사가 열리곤 한다. 그것은 어쩌면 멀거니 천장만 응시하는 환자를 위한 게 아니라 환자의 가족들, 이를테면 산 자의 영혼을 달래기 위한 의식처럼 느껴진다.

 

책의 각 파트에서는 생의 마지막 순간에 대한 기록과 함께 그 사람이 살아 있을 때의 모습과 죽은 직후의 모습이 흑백사진으로 실려 있다. 눈을 감고 깊은 명상에 잠긴 듯한 죽음 이후의 모습은 평화로워 보인다. 나의 아버지도 그럴까? 의학적 기록에 근거하지 않더라도 나는 아버지의 죽음이 멀지 않았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것은 나의 짐작과는 관계없이 아주 천천히 진행될 수도 있겠지만 지금 이 순간의 급작스러운 일이 될 수도 있으리라. 그 과정에 내가 개입할 수 있는 일은 전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나마 농촌 사람들은 60퍼센트가 집에서 죽음을 맞이하지만, 도시인은 90퍼센트는 병원이나 요양시설에서 눈을 감는다. 대부분의 환자들이 낯선 의사와 간병인들에게 둘러싸여 죽는다는 뜻이다. 그들의 근무 일정표가 마지막 삶의 리듬을 강요하는 것이다. 가족과 친구들 역시 울타리 밖 구경꾼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우리의 막연하고 순진한 꿈과는 도저히 어울리지 않는 가족, 친구의 육체적 몰락과 극적 부수현상을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똑같이 속수무책으로 바라만 볼 뿐인 것이다. 이런 사건들은 살아 있는 사람에게 위협으로 다가온다." (p.251~p.252)

 

하늘은 잔뜩 흐렸다. 병실 밖의 풍경은 단 한 번도 내가 속해보지 않았던 것처럼 낯설다. 바쁘게 드나드는 차량과 의례적인 인사를 하며 떠나는 사람들, 그리고 답답함이 느껴지는 병실 안의 풍경. 나는 또 삶의 현장으로 복귀할 테고 초조한 나날들이 흘러갈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4-08-11 04:55   좋아요 0 | URL
도서관에서 이 책을 마지막 장까지 다 펼쳐보지 못했던 기억이 나요. 사진 속 모습들이 낯설기도 하지만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모습이기도 하다는 것이 두렵고 피하고 싶었나봐요. 약하고 어리석지요.
월요일 아침이 밝아오네요.

꼼쥐 2014-08-12 17:03   좋아요 0 | URL
저도 아마 이런 상황이 아니었으면 읽지 않았을 것 같아요.
누구에게도 피해갈 수 없는 일인 줄 알면서도 괜히 쓸쓸해지더군요.

내이름은초록 2014-08-11 10:51   좋아요 0 | URL
늙는 것과 질병의 고통은 직접 겪어보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라지요. 곁에 있어주는 일만으로도 위로가 될 때가 있어요.

꼼쥐 2014-08-12 17:05   좋아요 0 | URL
병원이라는 오픈된 공간에서 사람들을 맞이하고 보내는 일도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더군요. 집에서 조용히 지냈으면 더 좋았을 텐데...하는 생각도 들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