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심란하거나 울적할 때면 찾게 되는 사람이 있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말이다. 물론 책을 읽어도 좋겠지만 어떤 책도 눈에 들어오지 않을 때가 더러 있어서 그런 순간에는 책이란 한낱 장식품에 불과할 뿐, 마음의 양식으로서의 역할은 기대하기 힘들어진다. 심리적으로 지치거나 바닥으로 가라앉아 수면 위로 떠오르기에는 어떤 자구책도 그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어진 상태, 자력으로 물을 박차고 수면 위로 고개를 내미는 것이 불가능한 어떤 순간에는 사람의 힘을 빌리는 것이 정답이라는 생각을 종종 하게 되는 것이다. 부모님을 모두 여읜 나로서는 누군가에게 터놓고 하소연할 처지도 아니지만, 살아 계셨을 때도 살갑게 굴던 자식은 아니었으니 나는 어쩌면 가족보다는 오히려 피가 섞이지 않은 외부의 누군가로부터 더 큰 위로를 받으며 살아왔는지도 모른다.
마음이 울적하여 기신기신 영 기운을 차리지 못할 때면 나는 언제나 전부터 알고 지내던 성직자분들을 찾곤 한다. 성당 신부님이나 교회 목사님, 또는 사찰의 스님이 그런 분들이다. 그분들을 어떤 종교적 목적으로 찾았던 적은 없는 듯하다. 물론 천주교 신자를 자처하는 나로서는 어쩌다 신부님을 대할라치면 으레 몸이 굳고 예를 갖춰야 할 것 같은 강박이 모든 행동거지를 불안정하게 하지만 말이다. 그럼에도 나는 아무도 없는 산꼭대기 암자에서 도무지 내려올 생각을 않는 스님에게 어리광을 부리듯 전화를 걸 때가 많다. 스님의 사정은 아랑곳하지 않은 채 말이다.
어젯밤에도 스님과 통화를 했었다. 말이 좋아 안부전화지, 내가 필요로 하지 않을 때는 스님께 전화를 걸었던 게 1년을 다 합쳐야 손으로 꼽을 정도로 적은 게 사실이다. 그래서인지 스님도 내 전화라면 귀찮은 내색을 하지 않으신다. 밤이 깊도록 스님과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다가 문득 내 귀에 얹혀 오늘까지 나를 괴롭혔던(?) 말이 있다.
"소멸하는 모든 것들에 대해 연민을 느껴야 해. 생물이든 무생물이든 이 우주에 소멸하지 않는 것이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봐. 심지어 아주 강한 듯 보이는 바위 덩어리도 약하디 약한 물과 바람과 햇빛에 의해 소멸하잖아. 이 광대한 우주에서 시간이 얼마나 걸리느냐는 그렇게 중요한 문제가 아니야. 다만 소멸하고 다시 만들어지는 데는 다 의미가 있는 거야. 그걸 잊지 말았으면 해."
시인 한정원의 에세이집 <내가 네 번째로 사랑하는 계절>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다.
"가까이에서 더러 보아왔다. 기억을 잃어가는 것. 내 조부가 그랬고, 내가 돌보던 시설의 여성들이 그랬고, 내가 존경하는 수도승이 그랬고, 이제 내 나이든 고양이가 그렇다. 순간순간 그들의 눈 속에서 빛이 꺼지고 눈동자가 멈추는 것을 목도했다. 그럴 때 그들은 아주 먼 데를 보는 것 같기도 하고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것 같기도 했다. 그 시선을 나는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기억을 잃으면, 사랑했다는 기억을 잃으면, 끝내 사랑을 잃는 것이라는 사실을 감각할 수 있게 되었다."
작금의 이 무도한 정권을 보다 못한 각 대학 교수님들의 시국선언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영영 끝나지 않을 것 같던 올여름이 그랬던 것처럼, 어젯밤 스님의 말씀에서 그랬던 것처럼 그들 역시 소멸할지니, 소멸하는 모든 것들에 대해 연민을 느껴야 한다는 스님 말씀을 가슴에 새기려 애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