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많이 풀렸다. 봄이 멀지 않은 듯하다. 그렇게 한 계절과 결별하는 건 어지간히 슬픈 일이라는 걸 한 살 한 살 나이를 더하면서 깨닫게 되는 사실이다. 한 계절을 보내는 숙취의 뒤끝은 언제나 쓸쓸함이었다. 지난 계절의 잔재처럼 마음에 남았던 쓸쓸함은 새로운 계절의 정점에 이르기도 전에 말끔히 사라지곤 하지만, 새로운 계절에 대한 희망이나 기대와 같은, 당연히 있어야 할 긍정적인 기분을 반나마 상쇄하곤 했다. 정월 대보름의 찬란했던 달빛이 짙은 어둠을 다 몰아내지 못했던 것처럼.
외국인 친구가 있는 사람이라면 실감하겠지만 그들과의 전화 통화에서의 주제는 언제나 대한민국의 대통령 윤석열에게로 좁혀진다. BTS를 배출한 국가에서, 블랙핑크를 배출한 국가에서, 기생충을 제작한 봉준호 감독을 배출한 국가에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한 윤여정을 배출한 국가에서 어떻게 윤석열과 같은 미친 작자를 대통령으로 뽑을 수 있었느냐는 게 그들의 공통된 질문이다. 그들의 상식으로는 도저히 납득하기 어렵다는 말이 질문과 함께 따라왔다. 그럴 때마다 나는 낯이 화끈거려 마땅한 대답을 찾지 못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계엄 성공의 축배를 그들 손에 들려주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자신의 안위를 생각지 않고 국회를 향해 달려갔던 그 위대한 사람들 덕분에. 우리는 그들 덕분에 우리가 지켜왔던 일상을 휘청거리며 제자리로 되돌릴 수 있었고, 그들 덕분에 다 쓰러져가던 경제를 가까스로 지켜내고 있는 것이다.
스웨덴 작가 리사 리드센의 소설 <새들이 남쪽으로 가는 날>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 등장한다. 우리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아름다운 소설이다.
"나는 거울 속의 나를 바라보며 불안한 생각을 떨쳐보려 애썼다. 이전에는 사서 걱정하는 일이 좀체로 없었다. 하지만 내 삶의 모든 부분이 하나씩 무너져 내려가는 최근에는 그렇지 않았다. 나는 문득 거울 속의 남자에게 애틋한 연민을 느꼈다.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는 생각이 스쳤다." (p.372~p.373)
작가는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썼다. 인간은 생각하기 때문에 위대한 동시에 생각으로 인해 고통을 짊어지는 동물이기도 하다. 날씨가 풀리고 겨울의 잔주름이 펴지는 시기. 나는 그 쓸쓸함의 숙취를 풀기 위해 산책을 하고 뻐근해진 다리를 욕조 속에 담근다. 그럴 때 나는 봄이 멀지 않았음을 실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