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익히고 알뜰하게 써먹는 1분 과학지식 - 무한 재미의 별별 과학 191
마티유 비다르 지음, 김세은 옮김 / 반니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알수록 재미있었던 책이었네.



인기리에 시즌 종영된 <알쓸신잡>을 통해 사실 나는 과학이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학문이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그간 정재승 박사의 책을 몇 읽으면서 내겐 어려웠던 학문이 알수록 흥미로운 것으로 많이 바뀌었는데 정재승, 장동선 두 박사들의 재미난 입담을 통해 한층 더 재미있어졌었다. 몰랐던 즐거움을 발견하는 과학이 되었던 부분이 많았고, 유익했었다.

<쉽게 익히고 알뜰하게 써먹는 1분 과학지식>안에는 총 191가지의 과학지식이 나온다. 정말 짧은 챕터로 이뤄져 있는 것도 있어서 어떤 것은 당황스러웠지만 그것 또한 진실이니 그것으로도 또 하나 알아가게 된 지식이었다. 사실 책에 실린 과학 지식이 평소에 궁금했던 것들은 별로 없었다. 알고 싶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무관심한 것들이었다. 하지만 이런 책 하나만 있으면 어디 가서 사소한 것들을 알고 있는 지식인 소리는 들을만한 것들이 가득했다.


1992년 필리핀에서 펩시콜라 고객응모 행사가 있었고, 약 2만 달러의 상금이 걸려 있었지만 당첨번호 제외 명령 오류로 인해서 수만 명이 항의 시위를 하며 결국 폭동이 일어나 여러 명의 사망자까지 나오게 되었다. 결국 펩시콜라측은 당첨자 1인당 20달러씩 주는 조건으로 합의를 봤다고 한다. 이런 사단을 일으킨 것은 컴퓨터 버그로 추첨 행사마다 중요한 상품은 주지 않기 위해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알게 된 사연이다.

북반구 아이들은 9월생이 많다고 한다. 유난히 길고 추운 계절 포근한 이불 속에서 잠을 자려고 하는 사람들도 많을 테고 게다가 성탄절 연휴도 끼어 있어 12월, 1월의 수정이 활발해 보이는 결과물이다. 12월 크리스마스라는 연휴도 있고, 해가 끝이 나는 아쉬움과 새 해가 밝는다는 설렘으로 마음도 뒤숭숭해서 마셔대는 음주로 애정이 활발해 졌다고 생각을 해야 하는 것일까? 실상은 여름보다 겨울이 정자의 수가 증가하고 활동도 훨씬 민첩해 진다고 한다. 정자의 최상의 컨디션을 과시 하는 계절이 여름보다는 겨울이라는 얘기다. 간혹 친구들과 연말에 이뤄진 정자와 난자의 생산으로 비슷한 시가에 아이가 많이 태어난다고 했었던 얘기가 이유는 틀렸지만 결과물은 맞췄나보다.

곤충계의 별난 기록들도 재미있었는데, 그중 가장 빨리 번식하는 곤충은 하루살이라고 한다. 난자가 수정되어 알이 부화되기까지 5분이라니. 그래서 여름이면 그렇게 많은 하루살이들이 날아 다녔던 것인가 보다.

인명을 앗아가는 가장 위협적인 맹수들을 집계한 결과가 있는데 2015년 <Good>이라는 잡지에 나왔는데 위험 동물로 생각되는 상어는 연간 10명의 사람을 죽이지만, 놀라운것은 인간이 475,000명이라는 것이다. 가장 많은 인명을 앗아가는 것은 모기였다. 말라리아 활열을 전파하여 연간 725000명의 목숨을 빼앗아 간다. 내생에 상어를 만날 확률은 거의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상어나 늑대, 사자로 인한 살인은 없을 수 있지만 인간의 살인횟수에 그저 놀라울 뿐이다. 475.000은 교통사고나 다른 피해 사망이 아닌 인간이 인간을 살인한 수치이고 모기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순위였다.

책을 읽는 동안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나쁜 기억을 지워주는 알약에 대한 부분이었다.

 

" 쥐의 해마에서 기억회로를 차단했더니 신경 연결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기억을 없앨 수 있다는 설명이었다. 실제로 해당 쥐는 일주일간 학습한 내용을 단 몇 분 만에 잊어버렸다. 연구진은 기억의 일부분을 지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의 징후를 지료하는 약을 개발 할 계획이다. 장차 몇 년 안에 가상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P265


정말로 이런 알약이 나온다면 나쁜 기억으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좋겠지만, 양심의 가책을 떨쳐 내기 위해 먹고 다시 똑같은 일을 저지르는 인간의 습성을 또 가져 오는 약의 악용이 넘쳐 나면 어쩌나 걱정도 된다.

책을 읽는 동안 흥미 없이 시작했다가 읽을 내용이 더 없다는 것이 아쉬웠던 책이었다. 잡학 다식한 책을 읽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맞춤옷을 입혀 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