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비즈니스 모델 70 - 르네상스 메디치가부터 21세기 스타트업까지
미타니 고지 지음, 전경아 옮김, 이동현 감수 / 더난출판사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요즘 즐겨 보고 있는 웹툰 중에 무적핑크님의 <조선영조실톡>이 있는데 가끔 작가의 상상력에 깜짝 놀랄 때가 있다. 카카오톡의 기반으로 선조와 신하들, 정조와 그의 충신들 역사적 관점으로 픽션과 논픽션이 오가는 이 웹툰은 정말 그들이 이런 말을 오갔을 것 같은 그런 상황도 만들어줘서 재미난 요소를 한층 더 첨부하고 있다.




 

 

<세상을 바꾼 비즈니스 모델 70>의 책속에도 시대가 다른 비슷한 두 사람을 끄집어내서 서로 펼쳤던 비즈니스의 얘기를 하는 것으로 만들어 놓은 “거인들의 오후”라는 코너가 있다. 그 이야기들은 그들이 이룬 비즈니스 성공 실화보다 재밌던 부분이 있었다. 이런 픽션이 때로는 딱딱한 이야기들을 부드럽게 한다고 할까. 거인들의 오후에 나오지는 않지만 이야기를 주를 이루는 거장들은 르네상스의 메디치가부터 질레트, 자라, 월마트의 신화, 이베이의 탄생, 그리고 비즈니스 하면 떠오르는 잡스의 얘기도 다룬다.



 

200개의 기업, 70가지 비즈니스 모델들을 끌어와 140명의 기업가와 리더의 모습을 담고 있는 이 책은 그들의 성공 실화들만 담지 않았다. 근간을 이루고 있었던 비즈니스 맨들의 역사를 한권의 책으로 만들어 냈고, 그것을 영화로 만들었다고 생각하면 잘난 사람들만 잔뜩 출연하는 영화지만 그들이 모두 다 부럽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일본인이 저술한 책이라서 한국인은 없어서 따로 출판사에서 한국 기업들을 만들어 놓은 부분이 있었는데 사실 그 부분이 아주 재미있었거나 놀라울만한 부분은 아니었다는 것이 아쉬운 부분이다. 특히 “한류 비즈니스 모델의 선두주자인 SM”을 다룬 부분에서 슈퍼주니어 ‘한경’을 뽑은 과정을 넣은 부분에서는 적절하지 못한 선택 같다. 한경은 슈퍼주니어를 탈회 했고 그 과정이 매우 소란스러웠다. 그런 부분에서 본다면 중국의 대규모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뽑은 멤버가 팀을 탈회 하면서 벌어졌던 소속사 갈등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유독 중국인이 SM으로 들어가면 탈퇴 문제가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지 궁금할 뿐이다. 중국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려고 만든 프로젝트가 오히려 중국인이 끼면 늘 말썽을 일으킨다는 느낌을 받게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책에서 언급한 수많은 기업인들 중에 가장 마음 아프게 다가온 사람은 아무래도 야후를 만들어 낸 제리 양의 이야기가 아닐까. 사랑에도 타이밍이 있듯이 사업을 하는 동안 확장, 축소를 선택하는 부분도 타이밍이 있는 것이다. 한때 야후의 로고송이 귀에 감기었을 때도 있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더 이상 야후 사이트가 존재 하지 않으며 더 이상 검색엔진을 그곳을 통해 얻어낼 필요가 없어졌다. 구글의 탄생과 그 확장은 거대하고 견고해졌다.


 

해외여행을 나가면 가장 필요한 어플은 구글이다. 지금은 MAPS. ME와 같은 어플도 좋지만 그전에는 무조건 구글을 찾았다. 구글 만큼 정확인 길 찾기를 해주는 어플이 없다. 해외를 나가 여행을 하는 도중 가장 많이 하는 것이 길 찾기이고 길을 헤매는 일이다. 그 과정에서 만나는 새로운 경험도 많지만 소매치기로 무서운 지방에서는 새로운 경험 따위는 우주 밖으로 던져 놓고 싶다. 그때는 안전한 길 찾기 동무가 필요한 것이고 그것이 나에게는 구글 이였다.



 

 

야후가 놓친 것을 구글이 찾아내고 이제는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쓸 수 있는 MAPS. ME 어플로 인해 또 어떤 편한 여행이 펼쳐질지 알 수 없게 되었다. 저자가 찾아낸 시대를 앞서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 놓은 비즈니스맨들의 얘기중 “질레트” 부분이다. 면도기에 이런 철학이 있었다니 놀랍다. 저자가 이 책을 쓰기위해 생각했던 부분은 책 뒷부분에 잘 나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신을 변혁하고, 팀을 변혁하고 사업. 기업을 변혁해야 합니다. 고중에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 다른 기업이 이미 걸은 길이 아닌 아무도 걷지 않은 새롭고 험난한 길을 걸어가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그 길이 험난한 가시밭길이기에 경쟁전략상 가치가 있다고 믿으며." P3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