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체코 단편소설 걸작선』 : 국내에는 체코의 문학이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작년인가 출간된 카렐 차페크의 『도롱뇽과의 전쟁』이 그 도화선이지 않았나 싶다.

『속 항설백물어』 : 고전 요괴 설화에 미스터리와 호러를 접목한 독특한 작풍으로 독자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한 몸에 받으며 뛰어난 문학성까지 인정받은 작가 교고쿠 나쓰히코의 대표작 <항설백물어 시리즈>. 전작을 재미있게 읽었기에 이번에도 읽을 수밖에 없는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어의 노래]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인어의 노래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8-1 프로파일러 토니 힐 시리즈 1
발 맥더미드 지음, 유소영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아무래도 작품 자체가 영국발 스릴러라서, 처음엔 런던 날씨를 예상했지만 우중충한 기운은 전혀 없었다. 오히려 미국식으로 가지 않은 결말이 좋았다. 각 챕터가 끝날 때마다 범인의 시각에서 기술된 페이지가 있었지만 이건 반대로, 이따금씩 추리 소설에서 행해지던 패턴이라 식상한 감도 없지 않았지만……. 

어쨌든 『인어의 노래』의 토니 힐은 제프리 디버의 링컨 라임과 유사하면서도 다르다. 링컨 라임은 전신마비 환자라서 온갖 것을 뇌 속에서만 조합하고 있고, 토니 힐 역시 섹스에 관한 문제를 안고 있어 등장인물인 캐롤 조던과 이성적인 협력을 한다(그래서 결말도 미국식과 다르다). 나는 추리 소설의 가장 큰 핵심은 살인과 트릭보다도 범인의 범행 동기에 있다고 본다. 그런 측면에서라면 『인어의 노래』는 소설 속에서의 토니 힐의 이력과 맞물려 아귀가 잘 맞았다고 볼 수 있다. 

그는 프로파일링으로 범인에게 근접하여 링컨 라임처럼 온전히 이성에 맞춘 추리를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들에겐 으레 파트너가 있기 마련. 제프리 디버의 링컨 라임 시리즈 『콜드 문』에 캐트린 댄스가 출연하듯, 여기서도 토니 힐의 파트너로 캐롤 조던이 등장한다. 굳이 한 가지를 꼽자면 토니 힐과 캐롤 조던의 비중이 어느 한 쪽에 크게 치우치지 않는다는 점. 

사실 제프리 디버의 작품과 많은 비교를 하고 있지만 발 맥더미드의 소설은 스타일리시함과 스피디함이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강점은 기가 막힌 타이밍이라는 것이다. 빤한 결말이나 빤한 반전이 아니라, 여기서 뭔가 뒤집어질 것 같다고 느낄 때면 전혀 다른 방향으로 튀어버린다. 개인적으로 백 퍼센트 만족하는 작품은 절대 아니지만 그래도 별점은 줄 수 있는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덜란드 살인 사건 매그레 시리즈 7
조르주 심농 지음, 성귀수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화살처럼 살을 가로지르는 전기. 눈꺼풀에 어른거리는 찬연한 무지개. 두 귀에 감기는 거품 같은 음악. 그것은 오르가즘이어라.」 ㅡ 아나이스 닌(Anais Nin)의 말이다. 

라이벌(rival)의 라틴어 어원을 보면 ‘다른 사람과 같은 강물을 사용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매력적인 파트너 한 명을 사이에 두고 경쟁하는 라이벌들, 그것도 내일이 없는 기항지의 매력을 두루 경험한 일등 항해사였고 자그마한 요트도 한 척 가지고 있었던 ㅡ 여자에 탐닉하고 영어와 독일어에 능통하기도 한 ㅡ 콘라트 포핑아를 사이에 두고서(질투라는 것은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알려 주는 지표의 성질만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얼마나 불안정한지도 알려 줄 수 있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또 인문학적 연구에서 어느 정도 이끌어낸 결론 중의 하나는 ㅡ 네덜란드인들은 키스, 포옹, 춤추기 정도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는 거였다. 그런 문화의 나라 네덜란드가 이 소설의 무대다. 심농이 오스트로고트를 타고 델프제일 항에 다다랐을 때 보았던 분홍빛 도시가 아닌 핏빛으로 물든 살인 사건의 현장이었다는 것이 다르긴 하지만. 

바로 앞선 시리즈 6권 『교차로의 밤』에서처럼 사람들을 줄지어 세우지는 않지만 이번에는 주변인들을 모아 사건 현장을 그대로 재현해 본다는 것이 낯설면서도 어색하지 않게 표현되고 있다. 모든 것을 단번에 꿰뚫는 천재적인 추리력보다는 사람들과 부딪히며 받는 감정에 기인한 이야기의 흐름이라서, 본문의 제9장(「재구성」)에 이르렀을 때는 누군지도 모르는 범인 옆에 앉아있는 것만 같은 초조함과 지루함마저 느껴진다. 

글쎄, 처음부터 남녀의 애정 문제가 얽혀있다는 것이 어느 정도 암시되어 있긴 하지만 위 아나이스 닌의 말처럼 오르가즘은(어떤 의미에서든) 일탈을 꿈꿀 때 그 존재 가치를 확연히 드러내고 있는 게 아닐는지? 물론 인물들은 굉장히 평범하지만 사회교육이나 통념에 의해 내부의 오르가즘을 느끼지 못하도록 제어하며 살고 있다고 본다. 아니면 사람이란 것은 한 꺼풀 벗기면 으레 모종의 드라마를 갖고 있기 마련인가? 심농 스스로가 그의 유일한 관심은 진실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한 걸 보면 심농의 욕구도 본능적이며 심농의 인물들도 본능적인 욕구를 ㅡ 『네덜란드 살인 사건』에서는 질투를 ㅡ 가지고 있다. 

암소 치는 베이트예, 납작 가슴의 아니, 유난히 붉은 얼굴빛의 오스팅, 울보 코르넬리위스를 비롯, 대사 한 마디 없이 죽은 상태로 등장하는 콘라트 포핑아까지. 모든 범죄에는 여자가 끼어 있기 마련이라지만 그렇다고 남자 없는 범죄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짚고 넘어갈 것은, 마지막 장에서 매그레가 암소 치는 아가씨와 조우했을 때 그녀가 던진 마지막 말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칠 수 있겠니]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미칠 수 있겠니
김인숙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의 전작들에 비해 상당히 실망했다. 전체적으로 산만한 작품이다. 2, 30대 여성을 타겟으로 하고 쓴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일방적이기도 하다. 한 가지 특성을 가지고 이야기가 죽 이어져야만 한다고는 느끼지 않지만 어느 정도 정리감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고로 나는 이 『미칠 수 있겠니』에 미칠 수 없었다. 뭔가 붕 떠있는 듯한 느낌이다. 분량을 조금 더 확보하고 조금만 더 응축시켜 범인간적으로 풀어나갔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줄거리를 늘어놓는 식의 리뷰는 지양하기로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환상도서관』 : 2003년 World Fantasy Award 대상 수상작. <책 죽이기>, <더 라스트 북>의 작가 조란 지브코비치의 작품으로, 하나의 주제에 초점을 맞춘 짧은 이야기들의 퍼즐 같은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는 이상하고 아름다운 여섯 개의 환상 도서관 이야기가 펼쳐진다. 작가는 마술적이고 환상적인 허구의 세계를 통해 현실을 자조적으로 그리고 있다.

『처녀들, 자살하다』 : <미들섹스>로 2003년 퓰리처 상을 수상한 미국 작가 제프리 유제니다스의 데뷔작. 1970년대 중반, 미국 미시간 주의 한 마을에서 벌어진 다섯 소녀의 자살 사건과, 20여 년이 흐른 뒤에 첫사랑이었던 그녀들의 죽음을 추적하는 남자들의 이야기가 교차하는 소설이다.

『W 또는 유년의 기억』 : <사물들>, <인생 사용법> 등으로 유명한 조르주 페렉의 자전소설. 작가는 두 개의 이야기를 교차적으로 배치해, 나치가 저지른 학살과 유년 시절에 대한 불분명한 기억을 되새겨 나간다. 밀란 쿤데라의 <웃음과 망각의 책>, 프리모 레비의 <주기율표>, <지금이 아니면 언제?>와 함께 파시즘의 군중심리를 훌륭하게 서술한 문학작품으로 언급되어 왔다.

『절대지식 일본고전』 : 일본 국내 각 분야 권위자들이 이 시대에 꼭 알아야 할 일본의 고전 명저을 선정해 수록한, 이른바 일본고전백과사전이다. 100권에 가까운 고전들을 역사, 사상, 종교, 모노가타리, 설화, 수필문학, 시가문학, 극문학, 근세소설 등 총 9개의 범주로 구분한 다음, 각 책이 집필된 시대적 배경과 저자의 삶, 그리고 핵심 사상과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아침에 읽는 삼국지』 : 유비, 관우, 장비, 그리고 제갈량과 조조로 대표되는 영웅들의 모험과 의리를 담은 나관중의 삼국지. 오늘날에도 정치, 경제, 사회, 국방, 문화의 교과서로 일컬어질 만큼 대하소설 삼국지는 인류역사의 빛나는 작품으로 회자되고 있다. 한권으로 요약된 ‘아침에 읽는 삼국지’는 바쁜 직장인과 학생들을 위해 삼국지의 주요 줄거리와 영웅담을 간결하게 정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