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의 비밀 -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마이클 티어노 지음, 김윤철 옮김 / 아우라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는 역사보다 더 철학적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다.   

작년 초였나, 재작년 말이었나? 아는 이에게 선물로 받고 작년 말경부터 조금 조금씩 읽었던 책이다. 이야기란 게 (남의 글을)읽을 때는 문제가 안되는데 막상 쓰려고 하면 자신이 없어진다. 언제나 그렇듯 글이란 서론, 본론, 결론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누가 모르나? 하지만 이야기는 그렇게 단순하지가 않다. 스토리에도 법칙은 있는데 그것을 알지 않으면 안된다.

저자가 말했듯이, 이야기의 법칙을 알려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으라고 한다. 하지만 실제로 '시학'을 읽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이책은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시나리오 쓰는데 도움을 주고자 접목시켜 쉽게 풀어 쓴 책이다.  

총 33장으로 되어있고, 간결하게 '시학'의 핵심만을 요약했다. 읽으면서 어떻게 이렇게 간결하게 쓸 수 있을까? 감탄했다. 물론 의심이 많은 나로선 '이거 저자가 '시학'을 진짜 잘 알고 쓴거 맞아?' 웬만해선 읽을 수 없다던 책을 저자는 어떻게 이해하고 이렇게 간결하게 쓸 수 있었던 걸까? 그런 생각이 없지 않았지만, 아무튼 이렇게 쓸 수 있다는 게 놀랍다. 거기다 거의 매 장이 끝날 때마다 철촌살인의 위트있는 마무리가 인상적이다. 예를들면, 

   
 

서브플롯 개념을 버리고 시나리오 구조를 <아메리칸 뷰티>처럼짜라. 그러면 당신의 시나리오는 그 구조 속에서 영화의 아름다움을 지니게 되고, 어쩌면 당신은 오스카상을 타게될지도 모른다.             

                                               -<4. 최고의 플롯은 한 가지 길로만 간다. 63p>-  

    

 
   

 또는, 

   
 

시나리오를 쓸 때 하나의 완결된 행동을 만들고 우연. 필연. 개연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운명을 불러내야만 관객들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시나리오를 쓴다면 당신은 오스카상을 받으로 고개를 꼿꼿이 들고 수상식장의 통로를 걸어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일이 당신에게 일어나지 말라는 법도 없지 않은가?   

                                             -<10. 운명이란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사건일 뿐 98p>

 
   

 우습지 않은가? 어찌보면 그 말하는 것이, "밑줄 쫙~"의 요점만 간단히를 외치는  학원 선생님 같다.  

뭐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저자는 미국 사람이고 그러니 미국 영화 실정에 맞게 쓴 흔적이 역력하다. 우리나라에선 감독이 각본까지 써서 찍는 마당에, 스토리 애널리스트는 무엇이고, 피치(시나리오 작가가 감독 및 제작자들에게 자기 작품을 설명하며 팔아 먹을 때를 이름하여)가 웬말이냐? 더구나 저자는 20세기 허리우드의 잘난 영화들만을 엄선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으~ 그놈의 허리우드! 잘 났어 정말!! 마치 허리우드가 영화의 모든 것인 양 잘난 척하는 게 마땅치 않지만 뭐 어쩌랴? 억울하면 출세하랬다고, 우리도 그런 시스템에 이런 책 하나 못낸 것을 아쉬워 할밖에.  

2년 전, 시나리오를 배웠을 때 나의 선생님은 허리우드 정석대로만 시나리오 작법을 가르치셨다. "세계 영화의 흐름은 이거야." 하면서 거기서 단 한발짝도 비껴나가지 않으셨다. 모르는 사람은 그 선생님이 허리우드표 빠다를 좋아하시게 되었나 보다며 그야말로 듣는 우리는 혀를 내두를 지경이었다.(그러고 보니 나의 허리우드 불만이 여기서부터 촉발된지도 모르겠다. 그전엔 이 정도는 아니었는데. 난 점점 중증이 되어가는 것 같다.) 하지만 나는, 그 선생님이 그렇게 가르치는 이유가 있었다고 간파했다. 무엇을 뛰어 넘으려면 그것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선생님은 그렇게 정석에 목 매달았다고 보아진다. 그런데 아쉽게도 그것을 뛰어넘어 줄 사람이 나는 아닌 성 싶다. 그래도 누군가는 이 허리우드의 벽을 넘어주지 않을까? 나는 바로 그를 위해 응원의 의미에서 허리우드표를 씹어 주는 것이다. 이러는 날 두고, 누구는 잘난 척 한다.고 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관객은 그 영화를 두고 무슨 말이든 다 할 수 있다. 제작자의 입장이면 절대로 못한다. 그야말로 불만은 나의 힘인 것이다. 

이책은 보기에 나쁘지 않다. 하지만 참고서라고 하기엔 좋지만 교과서는 아닌 성 싶다. 만일 누군가 시나리오에 대해 전문적으로 잘 쓴 책을 원한다면 감히 다른 책을 알아 보라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