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 The Notebook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언듯 이 영화는 어디서 본듯한 뻔한 그렇고 그런 사랑이야기 같다.   

이를테면 가난한 청년과 부자집 딸과의 운명적인 사랑. 그러나 그런 차이 나는 사람끼리의 사랑이 그렇듯 결혼까지는 적지않은 난관이 있어 보인다. 이럴 때 적수가 되는 경우는 부모가 될 경우가 많다. 아니나 다를까 여자의 부모 그중에서도 엄마의 반대가 만만치 않다. 게다가 전쟁은 이들의 사랑을 갈라놓기에 충분했다. 그래도 서로를 잊을 수 없어 그들은 헤어진 후에도 한동안 편지를 주고 받는다. 하지만 이 편지는 여자의 어머니에 의해 확실히 차단이 되고 그렇게 둘은 잊혀져 간다. 그런데 그렇게 세월이 흐른 후, 우연히 신문에난 노아(남자 주인공의 이름)의 기사를 본 앨리(여자 주인공)는 용기를 내어 연락을 하게 되고 이로인해 끊어졌던 그들의 사랑은 다시 불 타오르기 시작한다. 앨리는 약혼자까지 있지만 파혼을 하고 노아에게로 간다. 

보통의 작가들은 그렇게만 되면 할 얘기를 다 마쳤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둘은 행복하게 오래 오래 잘 살았더래요.' 그런데 보통 이렇게 끝나는 남녀 주인공의 나이는 평균 얼마나 될까? 옛날 같으면 10대 말에서 20대 초반이었을 것이고, 최근엔 20대 중반에서 말까지 잡을 것이다. 인간의 평균 수명이 70에서 80을 놓고 볼 때 이들은 그렇게 사랑을 이루고도 30년에서 길게는 40년까지도 바라보는 나이를 산다. 그때까지 정말 행복하게 오래 오래 잘 살고 있는 것일까? 살아가는 동안 그렇게 힘겹게 사랑을 이루고도 막상 살아보니 아니더라 해서 헤어지는 사람이 얼마며, 둘중 하나가 먼저 죽는 쌍이 얼마며, 둘 중 하나가 바람을 피우는 경우는 얼마일까? 그러니 오래 오래 행복하게 잘 살았다는 말은 믿을만한 게 못된다. 그러므로 작가의 동화같은 말을 다 믿지는 말아라.  

그런데 영화는 독특하게도 이들이 사랑을 이루고 나서의 삶은 보여주지 않고 있다. 이를테면 아이를 낳고, 이사하고 승진하고 등등의 삶은 보여주지 않고 있다. 딱 사랑을 이루고 훌쩍 뛰어넘어 죽음을 바라보는 노년의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

사람이 가장 슬플 때가 잊혀지는 것이라고 한다. 잊혀지면 그 전에 있었던 모든 일은 없는거나 마찬가지가 되어버린다. 그것은 또 얼마나 안타깝고 불행한 일인가? 당신이 사랑했던 내가 아직도 이렇게 당신을 사랑하는데, 당신은 나를 기억하지 못하니 그것은 정말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치매는 그렇게 앨리의 기억을 갉아 먹었고 요양소에서 만난 웬 낮선 노인에게서 어느 젊은 남녀 한 쌍의 사랑 이야기를 듣는다.  


그런데 그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은 다름아닌 남편 노아이고, 그 이야기의 기록은 아내인 앨리가 쓴 것이다. 언젠가 치매에 걸려 자신의 사랑을 잊게 될 것을 미리 대비해서다. 그렇다면 누가 누구를 더 많이 사랑한 걸까? 치매에 걸려도 변함없는 사랑을 바친 노아일까? 자신이 사랑을 기억하지 못할까 봐 그것을 대비해 기록해 놓았던 앨리일까? 노아 없이 그 사랑의 기록은 가능하지 않았겠지만 그래도 나는 왠지 앨리쪽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싶다. 아무튼 사랑을 하면 이렇게 예지가 생기나 보다.

그렇다. 사랑은 이루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 사랑의 순간을 자주 기억하고 가꾸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어떻게 이룬 사랑인가? 어떻게 그것을 다 이루었다고 한순간 마음의 창고에 넣어두고 산단 말인가? 

그래서 기록은 중요하다. 내 사랑은 너무나 귀해서 자랑 삼아 누군가는 알아주길 바래서 기록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록은 역시 나를 위해서 하는 것이다. 사랑의 순간을 가장 먼저 잊어버릴 나를 위해서 말이다. 결국 그랬을 때 남도 알아주는 법이다.  

나는 이쯤되면 판에 밖힌 사랑 얘기나 쓸 줄 아는 그렇고 그런 작가들 보다 앨리가 더 작가답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늙으면 매력도 없고 어떻게 그렇게 변함없이 사랑할 수 있을까 의심스럽기도 하다. 그러나 사람은 나이가 들면 들수록 추억을 먹고 사는 동물이다. 늙으면 늙는대로 사랑을 볼 수 있는 시야가 새롭게 생긴다고 생각한다.  

사람은 조금만 주위를 기울이면 죽음 조차도 자신의 뜻대로 정할 수도 있는 것 같다. 인간은 영적인 존재니까 말이다. 그래서 그럴까? 둘은 한 날 한 시에 앨리가 누웠던 일인용 침대에서 손을 꼭잡고 죽었다. 또 아니면 어떠랴?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고 죽음으로 헤어지는 것도 아름답지 않은가?  

영화는 처음 볼 때는 그저 그랬는데 보고나니 인생의 지평을 넓혀주는 뭔가가 느껴져 여운이 잔잔히 오래 갔다. 더구나 이 영화는 실화라고 한다. 이런 영화가 있어 인생을 좀 더 넉넉히 관조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나저나 나도 저런 사랑의 기록물 하나쯤 갖고 싶은데 (아직)없으니 사랑도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보다. 그렇다면 난 뭐에 대한 기록을하며 순간을 기억할까? 

감독: 닉 카사베츠 

주연: 라이언 고슬링, 레이첼 맥애덤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