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영화에 대한 일반적 이해

1) 그래엄 터너 <대중 영화의 이해>

2) 이효인 <영화 이야기 주머니>

3) 구회영 <영화에 대하여 알고 싶은 두세가지 것들>(한울)

 

B. 영화 분석, 이론, 비평

1) 조셉 보그스 <영화 보기와 영화 읽기> (제3문학사)

2) 토머스 소벅, 비바안 소벅 <영화란 무엇인가>(거름)

3) 데이비드 보드웰, 크리스틴 톰슨 <영화예술>(이론과 실천)

4) 수잔 헤이워드 <영화사전: 이론과 비평>(한나래)

5) 팀 비워터, 토마스 소벅 <영화비평의 이해>(영화언어)

 

C.  영화 역사, 장르, 운동, 산업

1) 잭 엘리스 <세계영화사>(이론과 실천)

2) 야마다 카즈오 <영화가 시대를 말한다>(한울)

3) 로빈 우드 <베트남에서 레이건까지>

4) 토마스 샤츠 <할리우드 장르는 구조>(한나래)

5) 제임스 모나코 <뉴 웨이브 1, 2>(한나래)

6) 서울 영화집단 <새로운 영화를 위하여>(학민사)

7) 조재홍 <세계 영화 기행 I , II>(거름)

 

D .특정 분야에 대한 입문/연구서

1) 곽한구 엮음 <컬트 영화, 그 미학과 이데올로기>(한나래)

2) 사이드 필드 <시나리오란 무엇인가>(민음사)

3) 스티븐 캐츠 <영화 연출론>(시공사)

4) 에드가 모랭 <스타>(문예출판사)

5) 리처드 다이어<스타-이미지와 기호>(한나래)

6) 오치 마치오의 <마이너리티의 헐리웃>(한울)

 

E. 영화 감독론 또는 감독의 전기

1) 프랑수아 트뤼포 <히치콕과의 대화>(한나래)

2)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길>(민음사)

3) 잉그리트 베리만 <창작 노트>(시공사)

4) 리처드 라우드 <장 뤽 고다르>(예니)

5) 데이비드 톰슨, 이안 크리스티 엮음 <비열한 거리- 마틴 니콜세이지>(한나래)

6) 로날드 헤이먼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한나래)

7)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봉인된 시간>(분도출판사)

8) 크리스틴 최 <내 영화의 진실, 내 사랑의 자유>(명진 출판)

9) 김영진 <미지의 명감독>(한겨례출판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nrim 2004-02-06 2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A. 영화의 일반적 이해 부분에 루이스 자네티의 <영화의 이해>가 들어가면 더 좋을거 같네요.

stella.K 2004-02-07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 책이 있었군요. 사실 이 도서목록은 제가 작성한 것이 아니라서리... 깜빡했습니다. 늦었지만 영화 감독 김홍준님이 작성하신 것임을 밝혀드립니다. '이쿠, 실수할뻔했네...' (긁적 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