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부터 '동맹의 풍경'을 읽기 시작했다. 어렵지 않게 서술되어 있는 이 책은 주석도 읽을만하다. 어쩌다 보니(전혀 조화가 되지 않는 듯한) '소돔의 120일'도 함께 읽고 있는데 왜 사람들이 읽기 힘들어하는지 깨닫고 있다. 중고로 작년즈음 구입했었는데 이제 보니 책 중앙에 끼워진 갸름 끈이 전혀 손대지 않은 느낌이다. 중고로 책을 판 사람도 이 책의 유명세에 도전하려고 사두었다가 악명 높은 머리글을 읽고 되팔았나보다. 주요 등장 인물들을 설명하는 머리글을 읽는 중인데 아직은 그럭저럭 견딜만하다. 음탕한 죄악을 삶의 목표로 삼은 네 인물이 큰 일을 벌일 준비를 하고 있는데 과연 끝까지 읽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어제 친애하는 이웃 열반인님의 글을 읽다가 이 책에 눈길이 갔다. 묵혀두었던 책장에서 꺼내 먼지를 후 불어 펼쳐봤는데 뭐지 이거? 영화로는 재현할 수 없는 그런 그림이 이어진다. 이번 달에는 소설을 좀 더 읽어봐야지 하는 마음에 몇 권의 책들을 이미 꺼내두었었다. 이게 다 사사키 아타루의 글을 읽고 난 뒤 독서에 대한 열망이 조금씩 되살아났기 때문인데. 어쨌건 사드의 이 책을 꺼냈을 땐,당장 본격적으로 읽을 마음은 없었고 그저 호기심에 몇 줄이라도 읽어보려던 거였다. 두께가 상당하여 당장 읽기에는 부담스러웠으니까. 그런데 내용의 경악과 거북함과는 별개로 글 자체로는 가독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친구가 몇명 끊기려나... 그래도 나 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까 궁금해서 알라딘 책 소개 밑에 리뷰를 몇 개 훑어봤다. 12년에는 금서로 지정되었었군. 이명박때였나? 하고 당시 대통령이 누구였나 확인차 검색해본다. 그 인간이 맞았다. 읽고 난 뒤 정신병을 걱정하는 사람도 있다. 이 자체로 폭력이라는 사람도 있다. 글쎄... 소설이어서 안전하지 않을까? 오히려 소설로 경험해봐야 하지 않을까? 끔찍하다면서 절반의 절반도 완독하지 못한 책에 별 하나를 던지고 비난 한다면 이 책을 금서로 지정한 이들과 뭐가 다른거지?
책을 읽기 전부터 제목이나 표지, 그 외 얻어지는 사전 정보들로 해당 책이 어떤 내용일지 추측한다. 사람에 대해서 그렇듯이.
사람은 대부분 위선적인 측면이 있다. 사람이 사람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위선'만큼 정확도 높은 방법은 아마도 없을거라고 생각한다. 본인을 이해하는 데도 마찬가지. 그래서 사람 수 만큼의 다양한 위선을 경험하며 자기 위선을 돌아보는 용기를 갖는건 인식의 한계를 조금이나마 넓히는 좋은 방법이다. 반면 개개인을 들여다보지 않고 비슷한 유형들을 어떤 프레임에 가둬두는 건 쉽고 위험한 방식이다. 남을 가두는 동시에 자신도 갇히는데 이걸 깨닫기는 쉽지 않다.
좌파 민족주의자들이 처음 활용한, 미군의 폭력적 행동에 초점을 맞춘 대중적 프레임은 결국 한국 시민이 일상에서 미군과 만나며 펼쳐지는 또 다른 이야기들을 대체해버린다. 서울에서 밤낮으로 벌어지는 군인과 일반인의 만남은 관련 행위자가 다양한 만큼 그 형태도 다양하다. 비범하든 평범하든, 적대적이든 순조롭든 , 성적이든 무감하든, 질서정연하든 자유롭든, 순식간이든 그 가능성은 무한한 것이다. p.43
원서읽기는 지난 달에 '빌레뜨'1권을 잘 마무리하고 2권을 시작했다. 1권부터 뽈 선생이 나오는 대목만 내내 기다렸다. 이래서 재독을 해야 하는 건가? 존과 뽈은 많은 면에서 극과 극이다. 독자들 중에는 아무래도 존에게 호감을 갖는 경우가 많을텐데 나는 뽈이 더 궁금했고 신경쓰였다. 예측할 수 없음, 첫 인상 나쁨 같은 조건들이 나의 흥미를 돋우는 것 같다. 나는 MBTI에서도 좀비월드가 되면 호기심 때문에 죽는다고 나온다. '저기까지 가는데 뒤돌아보면 죽는다' 라는 경고를 듣는다면 ? 난 거울이라도 들어서 뒤을 확인하겠지.
기이한 미소가 그의 입가에 떠올랐다, 몹시도 비판적이고 냉담한 미소가! 그는 와스디와 같은 성격에 대해서는 전혀 공감하지 않는 모양이었다. 몇마디 짤막한 말로 그는 여배우에 대한 의견과 감정을 이야기했다. 그는 그녀를 예술가가 아니라 여자로 판단했다. 그것은 낙인을 찍는 판단이었다. P.19 ㅡ빌레뜨 2권
다른 장점들보다 존 선생의 성격에 가까운 건 이런 면모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