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이 당연히 만들어진 괴물의 이름일거라는 착각과 원작의 작가는 당연히 남자일거라는 편견. 거기다 내용은 단순할꺼라는 근거없는 단정까지 붙여 여태껏 읽지 못한 이 훌륭한 소설을 드디어 제대로 만났다.

다락방님의 언급으로 나는 이 소설이 많이 궁금해졌고 게다가 많이 읽혀 여러 곳에서 번역되었다는 걸 알아 또 반가웠다.
어떤 계기로 하나씩 잘못된 편견이 깨지는 건 행운이자 큰 즐거움이다.

작가인 메리 W.셀리는 19세의 어린나이에 이 작품을 썼다고 한다. 심지어 그녀의 어머니는
<여성의 권리옹호>를 쓴 메리 울프턴크레프트이고 여성이 차별받는 원인은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해서라고 했는데 안타깝게도 이른 나이에 사망,
정작 그녀의 딸인 메리 W.셀리는 계모에 의해 학교에 가지 못했다고 한다. 이런 작품을 써낸 작가가 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았으면 어땠을까? 우리에겐 <프랑켄슈타인>외에도 뛰어난 그녀의 작품이 남아 있었을 것이다.

<프랑켄슈타인>을 읽는 동안 <폭풍의언덕>을 읽을 때만큼 치밀한 심리묘사에 여러번 놀라고, 격정으로 내 몰린 프랑켄슈타인의 분열과 고통에 나까지 여러번 숨쉬는게 답답했다. 반복되는 액자식 구성 ㅡ이 작품에서 액자가 도대체 몇개였던가!!ㅡ은 조셉 콘레드의 <암흑의 핵심>을 떠올려 이러한 형태가 얼마나 사람의 집중을 끌어내는지 세삼 생각하게 되었다(다만 그 작품에선 액자가 한 개 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무튼 거듭된 액자는 구성 그 자체로 더 흥미롭고 좋았다. -그래도 마지막 액자가 시작될땐 작가가 좀 짖궂다고 생각함ㅎ-결국 어제 자정이 다 되어 영화도 찾아봤는데 안타깝게도 내가 보는 ‘웨이브‘에는 현재 드니로님의 <프랑켄슈타인>은 없었고, 다행스럽게 진 와일더의
<영 프랑켄슈타인>은 있었다. 흑백이라 더 그럴듯한 음침한 분위기의 빗속에서 영화는 시작되고 생소하지만 매력적인 눈빛의 진와일더가 의대생들을 향해 뒤돌아보며 영화는 본격적으로 시작된다.(소설 다 읽고 보려고 여기서 끔ㅋㅋ)

간략히 몇 자 적으려다 중구난방 떠들고 말았네요. 아무튼 이 소설 안보셨다면 꼭 한번 봐야함요!ㅋ

굿데이~♡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lstaff 2021-01-25 15:0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프랑켄슈타인>은 정말 명작 아녜요? 그것도 19세기 초에 말입지요.

미미 2021-01-25 15:10   좋아요 2 | URL
그러게 말이예요! 지금 과학에선 더구나 말이되는 상황이니 더 놀랍고 대단한듯해요.ㅋㅋ

scott 2021-01-25 15:10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케네스 브래너 감독의 1994년영화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가 제작하고 로버트 드니로가 나왔던 영화 봤어요 흔히들 원작은 어린이용으로 읽고 대부분 프랑켄슈타인은 영화로 먼저 접하게 되는데 원작을 읽으면 그시대 이런 작품을 썼다는건 원작자 셀리에 엄마에 삶(출산휴우증으로 사망)까지 알게 되면 시중에서 읽을 작품이 거의 없다는 사실에 슬퍼져요 영미권에서는 셜리에 엄마 메리울스턴 크래프트 자서전들이 속속히 출간되고 있지만,,,우리가 즐겨 읽는 디킨즈는 알고보면 아내에게 폭력을 서슴치 않았고 여성을 하등계급으로 취급했는데도 불구하고 이름앞에 ‘위대한‘이 붙어다니니 ,,,,

미미 2021-01-25 15:17   좋아요 2 | URL
헉..그랬군요!!! 덕분에 또 하나 배웠네요! <제2의 성1>에서도 여러 유명 작가들의 막말과 접할 수 있었는데 보면서도 믿기지 않을 정도였어요. 또 제가 모르는 뭔가가 엄청 많을듯..그래도 그런 정보들 다 알고싶네요🤔

라로 2021-01-25 15:32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중간에 끄는 게 가능해요??ㅎㅎㅎㅎ 저라면 절대 못함. 😅저는 어렸을 때 진 와일더의 영화를 흑백으로 봤는데도 넘 무서웠다는 기억이 있어요. 저에게 그래서 프랑켄슈타인은 무서운 얘기로 전락하고 말았다는 슬픈 이야기. 이제 어른이 (응?) 되었으니 다시 읽어봐야겠어요!!

미미 2021-01-25 15:40   좋아요 2 | URL
네!ㅋㅋㅋㅋㅋㅋ너무 졸렸어요ㅋㅋ근데 정말 웰메이드로 느껴져서 꼭 다 보려구요. 흑백만의 매력도 있는 것 같구요!

행복한책읽기 2021-01-25 16:17   좋아요 7 | 댓글달기 | URL
ㅎㅎ 메리의 일생일대 명작이죠. 저는 읽다 몬스터에게 감정이입돼 어찌나 슬프던지. 프랑켄슈타인박사가 얼마나 밉던지. 무책임한 부모를 떠올리게 했어요. 실제로 프랑켄슈타인의 모델은 남편인 퍼시 셸리라고 해요. 셸리는 뛰어난 작가였으나 자유분방한 남편이었어대요. 그러니까 책임감 제로??? 메리의 아버지 고드윈 또한 대단한 지식인이자 혁명가였으나 아버지로선 점수가 낮아요. 메리가 유부남인 셸리와 결혼하겠다고 하자 고드윈이 딸을 쳐다도 보지 않았대요. 자신은 자유연애. 부부독립을 주창했으면서도요. 암튼, 전 퍼시 셸리의 시를 사랑한 사람이었는데, 셸리의 저런 면을 알게 되고서 실망을 금치 못했으나 여전히 시는 좋다는 ㅠㅠ 셸리는 항해를 좋아해 처와 자식을 남겨두고 바다로 떠났다가 폭풍우를 만나 되졌어요. 증말 되졌다고밖에 말해줄 수가 없네요.^^ 메리의 엄마 울스턴크래프트 전기로는 국내 출간 번역서 <세상을 뒤바꾼 열정>이 있어요. 괜찮은 책이지만 정말 관심 있는 사람 아님 안 읽을 분량이고. 번역자의 노고에도 번역이 대단히 아쉬운 책이랍니나. 미미님 뒷얘기 좋아한다 해서 저도 주저리주저리 ㅋ^^

미미 2021-01-25 16:22   좋아요 3 | URL
어머머머×10 너무너무 재밌어요!!ㅋㅋㅋㅋㅋ 맙소사 이런 정보만 모은 책이 나온다면 당장 볼꺼예요!!ㅋㅋㅋㅋㅋ

다락방 2021-01-25 18:48   좋아요 4 | URL
아 저 되졌어요 보고 육성으로 터졌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미 2021-01-25 18:59   좋아요 2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붕붕툐툐 2021-01-25 19:30   좋아요 2 | URL
ㅋㅋㅋ그니까요~ 되졌어요가 너무 찰떡이네요~ㅋㅋㅋㅋㅋㅋ

고양이라디오 2021-01-26 19:04   좋아요 1 | URL
되졌다는 표현이 웃겨서 빵터졌네요ㅎㅎ 좋은 뒷이야기 감사합니다^^

되졌어요. 멋진 표현이네요. 저도 꼭 써보고 싶습니다ㅎㅎ

mini74 2021-01-25 21:5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다들 알지만 읽은 사람은 드물다는 책들 중 하나아닌가요 ! ㅎㅎ 저도 생각해보니 어릴 적 문고판으로 읽고 만 것 같아요. 셀리의 일생을 담은 영화를 본 기억이 나는데 참 암울하다라고요

미미 2021-01-25 22:17   좋아요 2 | URL
묘하게도 읽지 않아도 다 아는것 처럼 여겨지는 작품이고 영화였어요! 셀리 영화 저도 보고싶네요~^^♡

mini74 2021-01-25 22:23   좋아요 1 | URL
메리 셸리: 프랑켄슈타인의 탄생 이란 영화였어요 엘르 패닝이 예뻐서 ㅎㅎ

bookholic 2021-01-26 08:37   좋아요 1 | URL
저도<프랑켄슈타인>을 읽고 책 보다 지은이 메리 셸리에 더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그리고 <메리 셸리:프랑켄슈타인의 탄생>이란 영화도 찾아보고~~^^

미미 2021-01-26 09:56   좋아요 1 | URL
오~♡ 빨리 봐야겠어요!! 어떤 내용일지 너무궁금하네요ㅋㅋㅋ

고양이라디오 2021-01-26 19: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 저도 <프랑켄슈타인> 읽고 깜짝 놀랐습니다. 소설이 재밌어서 놀라고 이 소설의 작가가 19세 여성이라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반갑네요ㅎ

미미 2021-01-26 19:07   좋아요 1 | URL
읽으셨군요! 역시 북플 이용하는 분들 수준이 보통이 아니네요. 자주 놀람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