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 인간 김동식 소설집 1
김동식 지음 / 요다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품 자체보다 작가에 대한 호기심으로 읽기 시작한 책이다. 처음에는 읽기가 힘들었다. 완성된 단편이 아니라 소설 구성 단계에서 아우트라인을 잡아놓은 노트를 읽는 것 같기도 하고, 애니메이션 스토리보드의 거친 메모 부분을 읽는 것 같기도 했다. 게다가,

 

'시간이 흐르자 사람들은 헛된 기대를 버렸다. 그 대신, 반기를 꿈꿨다. (9쪽)'라는 문장을 읽으면 '반기(反旗)'라니? 깃발을 꿈꾼다는 말인가? '반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고,  '가족 중 누구도 말을 꺼내지 못했다. 그들 앞에 놓인 서류가 그들 가족을 침묵하게 만들었다. 에이즈 양성 팡정. (289쪽)' 대목에서는 식인으로 병에 걸린 것이니까 에이즈가 아니라 '쿠루쿠루 병' 아닌가? 하는 식으로 소설의 세세한 부분에서 신경이 긁혔다.

 

중간 중간 읽다가 책을 덮고 생각했다. 왜 내가 이 소설집에 거부감을 느끼는지를. 아마,,,, 창피한 일이지만 그건 내가 얼치기 먹물로 살아온 세월이 꽤 길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또한 이런 소설 쟝르에 대한 독서력이 전무한 것도 큰 이유가 될 것이다. 그렇다. 난 이 소설집에 대해 뭐라고 논할 만한 안목이 전혀 없다. 이 점을 인정하고 이야기 자체에만 집중하기로 생각하고 다시 책을 펼쳐 보니, 

 

각각의 단편들은 참으로 매력적이었다.  목에 힘 준 기교 없이 이야기 자체의 힘을 보여준다. 괴이하고 황당한 설정이 많다는 점에서, 이야기 읽기의 즐거움을 선사한다는 점에서 청나라 때 포송령의 <요재지이>가 떠오를 정도다. 아아, 이렇게 멋진 소재들을 단편으로 탕진하다니! 한 편에 살 붙이고 묘사 넣고 시공간 배경 설명 넣으면 너끈히 장편 한 권은 될 수 있는데, 아까워라, 하는 생각이 든다. 특히 작가는 결말 직전에서 한번, 어떤 작품에서는 두번 뒤집는 반전을 맛보는 재미를 준다. 독자의 마음을 들었다 놨다 하는 재능을 가진 작가다.

 

꼭 살아남아서,우리들 중 누군가는 꼭 살아남아서 이곳의 이야기를 세상에 전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졌다.

여전히 사람들은 죽어나갔고, 여전히 사람들은 배가 고팠다. 하지만 사람들은 더 이상 회색이 아니었다.

아무리 돌가루가 날리고 묻어도, 사람들은 회색이 아니었다.

- 본문 21쪽에서 인용

 

위의 인용 부분처럼, 암울한 현실을 우의적으로 돌려 표현하는 것 같으면서도 희망의 중요성을 말하는 부분이 많은 것도 흥미롭다. 아무리 돌가루가 날리고 묻어도, 이야기가 있는 한, 이야기의 힘을 믿는 한 사람들은 회색이 아닌 것일까. 그러니 이야기의 힘을 믿고, 이 작가를 믿고, 그의 작품을 앞으로 더 읽고 더 기대해 볼 수밖에.

 

*** 이하는 작품집과 관련 없는 개인적 생각인데,

 

이곳에서는 누구도 서로를 돌봐주지 않았다. 부상을 당한 자에게 빵을 나누지 않았다. 쓰러지면 그걸로 끝이었다.
지상에서 노래를 부르던 사람이든, 그림을 그리던 사람이든, 소설을 쓰던 사람이든, 이곳에서 예술은 필요가 없었다.
인간이란 존재가 밑바닥까지 추락했을 때, 인간들에게 있어 예술은 하등 쓸모없는 것이었다.
지칠 대로 지친 이곳의 회색 인간들에겐 땅을 팔 수 있는 회색 몸뚱이만이 가진 전부였고, 남들도 다 그래야만 했다.
한데, 그 여인은 미친 것이 틀림없었다.
몸을 가누지 못해 바닥에 주저앉아 굶어 죽어가던 그 여인이, 또다시 노래를 부르는 것이었다.
- 본문 15쪽에서 인용

 

소녀의 노래, 피부 돌기들의 노래는 끝이 날 줄을 모르고 온종일 계속되었다.

그렇지만 바뀌는 건 없었다. 예정대로 다음 날 대공습은 진행되었다.

다만 한 가지, 대공습의 작전명이 바뀌었을 뿐이다.

작전명 '숭고한 희생'으로,,,

- 본문 224쪽에서 인용

 

작가가 희망과 인간다움의 상징으로 노래하는 인간을 자주 등장시키는 것이 나는 흥미롭다. 작가는 성수동 공장의 주물 노동자였다고 한다. 옛날 식으로 말하자면 대장장이다. 대장장이가 노래에 대해 쓴다니,,,,  뒷통수를 한 대 맞은 것 같다. 마치 문학의 시원에 대한 이론서 속에서 작가가 걸어나온 것 같다.

 

알다시피 문학의 기원은 노래다. 고대 서사시에서 나중에 소설이 되는 서사 쟝르가 유래한다. 부족의 서사시는 샤먼이 부르는 것. 그리고 대부분의 문명권에서 샤먼은 대장장이였다. 아놔, 도대체 이 인공지능의 시대에 어디서 이런 고대의 대장장이 작가가 나타났는지 소름 끼치게 신기할 지경이다만,,,(쓰다보니 나는 정말 얼치기 먹물같구료) 지금은 그저 그의 대장간에서 끊이지 않고 노래가 울려퍼지기를 기원할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