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상 2 에이케이 트리비아북 AK Trivia Book
오귀스트 라시네 지음, 이지은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2권은 1권에 이어 유럽 복식이 실려 있다. 러시아, 폴란드, 북유럽,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터키(소아시아) ,유럽 · 터키 편이 있는데 1권에 실린 나라의 다른 지역 복식이 있다. 비유럽권으로는 페르시아 인도, 아시아, 중국, 일본, 오세아니아 ,칠레 ,멕시코 ,아메리카의 민족 의상이 소개된다. 이럴 바에야 1권 전체를 유럽편으로 하거나 두 권을 합쳐 내는 것이 좋을 듯하다.

 

도판 인쇄상태가 훌륭하다. 다른 복식사 서적은 흑백으로 인쇄되거나 편집 상태가 촌스런 경우가 많았는데 이 책은 보기 편하다. 그런데,

 

아라곤 지방 혼례의상. 신랑은 계절에 상관 없이 폭이 넓은 옷깃이 붙은 검은 망토를 입었다.

- 37쪽에서 인용. 일러스트 옆에 붙은 설명

 

위와 같은 식으로, 그 일러스트의 복식 묘사 격인 설명만 있다. 이 일러스트의 인물이 망토를 입었다, 라는 것만 있지 망토라는 것이 격식을 갖춘 자리에서 입는 예복이다,,, 라는 식으로 의상 구성별로 하나씩 자세한 설명은 없다. 그 부분은 다른 복식사를 봐야 한다.

 

내가 보기에 흥미로운 점은 19세기 후반 유럽인의 세계관이 여기에서도 엿보인다는 점. 인도, 중국, 일본편과 아시아 편이 따로 있다. 그들 나라는 한 나라당 8쪽씩 복식이 소개되는데 우리나라는 88 ~ 89쪽의 '아시아 - 라오스, 시암, 조선'편에 두 점의 일러스트만 소개되어 있다. 동아시아 국가인데 중국, 일본과 떨어져 라오스, 태국 사이에 있다! 게다가 실린 두 점의 일러스트도 조선 양반이 아니라 청나라 관리 복식과 비슷하게 그려져 있다. 아, 유럽인이 보기에 19세기 후반 조선의 위치가 이런 것이었구나. 

 

조선의 벼슬아치. 폭이 넓은 아마포 옷을 안에 입고, 단색 치마 위로 긴 겉옷을 입는다.

- 88쪽에서 인용. 일러스트 옆에 붙은 설명. 

 

설명이 웃겨서 기록해 놓는다. 일러스트는 조선시대 무관 복장이었다. 일러스트는 철릭 위에  전복(戰服) 혹은  쾌자(快子, 전복보다 어깨 너비가 좁다)를 입었는데 설명이 위와 같았다. 철릭이 치마로 보였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