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부터 내려오던 민간요법 약초 중 환각식물에 대한 책이다. 선사시대 구석기인들의 잊혀진 비법이라지만 현재 수렵채집 경제 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먼 과거의 지식이 아니다. 그러기에 민족식물학자, 인류학자들은 수렵민들의 환각 식물 사용법을 통해 구석기인들의 문화까지 재구성해낼
수 있다.
책은 환각제로 쓰이는 식물들에 대해 설명한다. 수렵민들이 사용하는 환각식물들은 그냥 취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일정한 용도를 위해 의미를 갖고
사용되었다. 샤머니즘 의식이나 이니세이션 의식을 행할 때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부족이 주로 사용하는 환각식물은 조상신이나 부족의 유래에
대한 신화를 설명해 주는 이야기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네안데르탈인의 유골에 8종의 꽃가루가 엉켜있는 것은 그들이 장례의식을 행했다고 보는
증거가 되지만, 샤먼이 약초 치료를 했다고 볼 수도 있다. 특히 샤먼이 사용하는 유명한 환각식물로 <베다>에 등장하는 '소마'가
있다. 소마는 광대버섯이다.
그밖에 저자는 여러 가지 식물들을 다룬다. 그런데 어떤 환각물질이든, 공통적으로 음용 후 나타나는 현상이 있다. 우선 다양한 추상적 무늬가
보이는데 이는 경험자들 서로 간에 일치되며 각각 표의문자로서 일정한 뜻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또 환각 음료를 계속 먹고 더 취함에 따라
사람들은 신화 세계의 장면을 계속 이어서 보게 된다고 한다. 이 때 나타나는 것은 동물의 명확한 형상이다. 이 동물의 의미는 모든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존경받는 샤먼이 해석해준다.
고대로부터, 환각제가 의식에 사용됨으로써 상징 체계와 무늬가 나타나고, 이것들이 해석됨에 따라 문화적으로 고착 또는 제도화되었다는 것이다.
또 그곳에서는 주술 종교적 전통의 수호자인 샤먼이 동시에 그 사회의 예술가였을 가능성이 많은데, 그는 예술품과 주위 환경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형상을 해석하는 소임을 지니고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86쪽에서 인용
그렇다면, 구석기 시대 동굴벽화의 동물과 반인반수 그림들은 다 지하세계에서 행진해 올라오는 조상신을 환각상태의 샤먼이 보고 그린 것이라는
장 클로트의 견해가 맞는 것일까?
환각제가 땡겨서,,,, 가 아니라 구석기 유럽 동굴벽화가 궁금해서 읽다보니 여기까지 왔다. 동굴 벽화에 관심있다는 말을 다른 리뷰에 쓴
적이 있는데 고마우신 분이 그 리뷰를 읽고 이 책을 권해주셨다. 그 분 아니었더라면 이 책이 있는줄도 몰랐을 것이다. 그분께 감사!
^^
*** 참, 생각보니 송기원 소설 <인도로 간 예수>와 나카자와 신이치의 <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에도 소마가
등장한다. 영화 <엘프>에 '노란 눈을 먹지 말라'는 대사도 있었고,,,,음, 소마와 순록은 한 세트였군. 원래 신화에서 순록은
하늘을 날아 태양을 운반하던 우주사슴이었는데, 그 기본 능력에 소마까지 드셨다니, 루돌프와 그 친구들이 겁없이 하늘을 날아다니는 것도 이제 다
이해가 간다. ㅋㅋ
*** 알라딘에 이 책이 검색되지 않아 페이퍼에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