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같은 글쓰기 - 프레데리크 이브 자네와의 대담
아니 에르노.프레데리크 이브 자네 지음, 최애영 옮김 / 문학동네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니 에르노가 자신의 글쓰기에 대해 동료 작가 프레데리크 이브 자네와 메일로 대화한 내용을 엮은 책이다. 주로 자네가 질문하고 에르노는 답한다.  

 

아니 에르노는 20년전에 책세상 출판사에서 나온 <아버지의 자리>를 통해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그 이후 <어떤 여자><단순한 열정><탐닉>을 읽었다. 에르노는 자신의 삶을 글쓰기의 소재로 삼는 데 적극적이다. 정치적으로 좌파이고 페미니스트이며, 부모의 삶이나 연인과의 성애를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냉정하게 기술한다거나 하는 점때문에, 보수적이고 남성중심적 견해를 가진 평단과 독자의 공격을 받기도 한다. 저자는 독특한 문체를 구사한다. 초기작인<아버지의 자리>에서 내세운 글쓰기 입장을 시종여일 지키고 있다. 절제하는 문장 그리고 정확하고 첨예하게 진실을 허구의 바깥에서 탐구하는 입장 말이다. 이런 작가에게 프레데리크 이브 자네는 아니 에르노만의 작품 색깔을 결정짓는 것은 무엇이며 왜 그러한 글쓰기 형태를 추구하는 건지? 등등을 질문한다.   

 

아니 에르노는 답한다. 자신의 삶과 글쓰기에 대해. 파리 외 지방 하층 계급 출신으로 신앙심 깊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나 카톨릭 기숙 학교를 다니던 성장기. 두 아이를 낳고 20대에 이혼. 교사로 일하며 가사와 육아를 혼자 해결하며 글쓰기. 2시간만도 온전히 집중하기 어려웠던 환경. 불법인공유산의 경험. 여성 작가에 대한 편견,,,, 담담히 읽어 내려가다보니 이런 생각이 든다. 아니 에르노는 참으로 여러 가지와 싸우며 글을 써 왔구나. 그래서 이렇게 말하는구나.

 

내겐 글쓰기가 칼처럼 느껴져요. 거의 무기처럼 느껴지죠. 내겐 그게 필요해요.

- 47쪽

 

정치적으로 좌파인 저자는 문학교사로 작가로 안정적 생활을 하고 있는 자신이 출신 계급을 배반하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그러한 삶을 속죄하는 방법으로 글쓰기를 한다고.

 

속죄의 다른 방법은 글쓰기를 통해 세상에 대한 지배적인 관점들을 전복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입니다.

- 69쪽

 

'당신은 자신을 여성작가라고 생각합니까?'라는 후진 질문에는 ‘남성적 글쓰기라는 분류는 없다. 유독 여성들에게만 해당된다고 명쾌히 답하며 아래와 같이 덧붙인다.

 

하지만 난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역사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그 역사가 글쓰기 속에 살아 있음을 확신합니다. 그러니까 가족소설, 출신 환경, 문화적 영향, 그리고 물론 성과 관련된 조건이 그 속에 포함되겠지요. 내 내면에는 여성으로서의 역사가 있어요. 그런데 그 역사가 한 순수한 작가만을 내 작업대 앞에 남기고 사라져 버리는 기적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겠어요? 게다가 그 순수라는 개념이 참 묘하잖아요.

129  ~130쪽

 

내 출신성분이 피지배 사회계층이라는 사실과 여자아이들에게 인위적으로 주어진 조건이 부과하는 이중적 무게가 내게는 무척 무거웠다는 사실을 힘주어 말하고 싶군요. 거의 파탄 지경까지 이르렀던 적도 있답니다. 그리고 보부아르를 만나게 되었지요. (<2의 성> 읽은 이야기가 이어진다)

- 133쪽

 

외설적이라는 비판을 받은 <단순한 열정>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한다. 사람들은 남성들이 쓴 텍스트에 대해서는 그런 비난을 가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그들 작품 속 남근중심주의적 형태가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남성 시각의 성애물에 익숙한 것이라는 말일 것이다. 작가는 이어서 말한다. 

 

사람들이 흔히 여성의 글에서 기대하는 로맨스’가 없었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그 책이 성적인 외설인 셈이었던 거죠. (중략) 내가 속해 있는 성에 내 존재를 빗대 이야기하는 아주 부당한 이중적 비방이었어요. 이렇게 말한 사람들은 스스로를 좌파라고 일컫는 자들이었답니다.

- 143쪽

 

이런 식으로 '여성' 작가로서 프랑스에서조차 받아내는 공격과 비난에 대해 아니 에르노가 당당히 말하는 대목이 특히 인상 깊었다. 저자나 질문자나 다른 프랑스 작가나 작품, 프랑스의 문화 풍조 등등을 광범위하게 인용하며 말하지만 이 관련해서 책 뒤에  주석 설명이 잘 되어 있어 그리 정신없지는 않다.

 

참, 아니 에르노는 단순과거시제는 거리를 두려는 태도처럼 느껴져서 복합과거시제를 사용한다고. 프랑스어의 복합과거시제는 과거에 일어난 사실의 결과나 여파가 현재까지 미칠 때 사용하는데, 이거 원서가 아니라 번역본을 읽으니 그 차이를, 맛을 모르니, 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