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스로 깨어난 자 붓다 ㅣ 푸른숲 비오스(Prun Soop Bios) 1
카렌 암스트롱 지음, 정영목 옮김 / 푸른숲 / 2003년 10월
평점 :
카렌 암스트롱의 <축의 시대>를 읽어가다가 덮었다. 기원전 800년부터 200년 사이까지, 현재 인류문명의 축을 이루는 종교,
철학, 윤리, 영적 전통을 설명하는 그 책에서, 기독교 쪽은 알겠는데 불교 쪽은 모르겠다. 일단 부처에 대한 책을 읽고 다시 <축의
시대>로 돌아가기로 결정, 같은 저자가 쓴 이 책을 골랐다. (물론 조로아스터교나 마니교도 모른다. )
석가모니의 전기는 어릴적 위인전 수준에서 더 읽어본 적 없다. 하지만 그래도 이 책이 독특한 점이 있다는 것은 알겠다. 유명 스님이나 불교
관련 필자가 아닌 서양 종교 전문가가 써서 그런가보다. 개인에 대한 예찬이나 평가보다 붓다의 이 언행이 이 시대에서 갖는 의미 파악 위주이다.
늘 시대배경이 궁금한 나에게는 붓다 등장 즈음 인도의 상황 설명 부분이 참 좋았다. 당시 인도는 농업 기반 부족 공동체의 질서가 붕괴하고
공화제에서 왕정, 제국으로 나아가던 시대였다. 농업 사회의 전통과 다른 상업 사회의 경쟁과 이기심, 차별과 계급, 정복 전쟁 등등 급격한 변화에
베다 전통과 카스트 제도가 무너진 시기였다. (잘은 모르지만, 마호메트 등장 시기 아라비아 반도 상황이 떠오른다. ) 사람들은 혼란스러워했다.
새로운 가치관이 필요한 시기였다. 이 때 등장한 사람이 붓다.
또 이 책의 특이한 점은 산스크리트어가 아니라 당시 붓다가 사용하고 붓다의 언행을 기록한 팔리어 경전을 토대로 전개된다는 점. 苦는
둑카인데 이는 단순한 인생 생로병사의 괴로움이 아니라 원래 팔리어로는'뒤틀리고 결함이 있고 불만족스럽다'는 의미라고 한다. 그렇다면 다시 붓다의
그 시대로 돌아가 생각해보니, 불교가 그렇게 현실도피적인 종교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붓다와 그의 가르침에 당시 그 시대의 아픔을 해결할 힘이
있다고 생각했기에 그 많은 신도들이 모였던 것이다.
생각해보니 예수의 생애는 참 드라마틱하게 묘사되는 반면, 붓다의 경우는 깨달음 이전까지만 세세하고 드라마틱하고 이후 열반까지는 큰 기복이
없이 서술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 책은 붓다를 따르는 빅쿠(비구 승)들의 파벌싸움, 암살 기도, 춘다의 음식 공양 - 식중독설도 있는데
저자는 독살설도 언급한다 - 으로 인한 사망 등등 붓다가 된 이후의 인생 고난도 다룬다. 덕분에 내가 몰랐던 붓다의 인생 이야기와 인간적 면모를
알게 되었다. 인간 붓다가 밋밋하고 개성없게 느껴지는 이유가 그가 깨달은 이후 자신의 감정과 언행을 절제했기 때문에 겉으로 보이는 대로 기록되다
보니 후세인에게 그렇게 보일뿐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저자의 시각은 신자가 아니라 학자의 입장이다. 저자는 불교 경전에서 기적이나 신이한 묘사로 적힌 붓다 관련 이야기의 신화적 상징성을
덜어내고 독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본다면, 붓다를 괴롭히는 마라(마귀)의 존재를 융 심리학에서 말하는 자신의 그림자라고 설명한다. 전생담도
거의 소개하지 않는다. 객관적인 붓다 입문서를 찾는 분이라면 알맞을 책이다.
책은 다 읽었지만 여전히 불교 쪽은 알쏭달쏭하다. 불교는 종교라기보다는 철학같다. 그리고 이 '붓다의 시대', '축의 시대'에 인류가
품었던 시대에 대한 고뇌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생각이 든다. 도대체, 이 시대 이후로 지금까지 인류에게 뭔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자,
다시 <축의 시대>로 돌아가 읽어 보아야 겠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