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헬렌 켈러의 위대한 스승 애니 설리번
마가렛 데이비슨 지음, 김완균 옮김 / 동쪽나라(=한민사) / 2004년 12월
평점 :
절판
책이 아동용 위인전같았는데 애니 설리번에 대한 다른 책도 없고, 도서관 여성인물 쪽 서가에 있기에 일단 뽑아 읽었다. 역시나,
아동용이었다.
그래도 읽은 보람은 있었다. 헬렌 켈러와 마찬가지로 대중들은 애니 설리번 역시 유년, 청년기까지의 업적만 보려 한다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장애를 짊어진 여성의 장애 극복담, 거기까지만.
애니 설리번은 감자기근 당시 미국으로 이민온 아일랜드인이다. 어려서 눈병에 걸려 시력을 잃어갔지만 극심한 가난에 시달려 제대로 치료받지
못했다. 앞이 안 보이는 소녀는 폭력적으로 변해갔다. 어머니가 결핵으로 돌아가시고 아버지가 가출했다. 친척들이 모여 설리번의 3남매를 두고
회의했지만 성질 고약한 맹인 소녀를 맡아줄 친척은 없었다. 애니는 병에 걸린 남동생과 함께 턱스베리의 빈민구호소에 보내진다. 동생이 죽고,
애니는 기회를 잡아 맹인학교에 다니게 된다. 점자를 배우고 책을 읽으며 세상을 알아가고 자신이 처한 현실을 벗어나려는 노력을 시작한다. 열심히
공부를 한다. 요행 눈수술을 하여 시력을 약간 회복할 수 있게 되었다. 학교 졸업을 앞두고 애니는 생계 유지에 대한 고민에 빠진다. 마침 켈러
씨가 시각 청각 장애인인 딸 헬렌의 가정교사 파견을 요청하는 편지를 학교에 보낸다. 애니에게는 다른 선택이 없었다. 그후는 다 아는 유명한
스토리이다. 헬렌에게 글자를 가르치고,,,, 세상의 찬사를 받으며 대학을 졸업시킨다.
책은 여기까지 자세하다. 그 이후는 간략하게 후일담처럼 처리해 서술한다. 그러나, 인생이 어디 그러랴? 가난한 아일랜드 맹인 소녀는
굶어죽지 않고 살아남기 위해 남들이 마다하는 헬렌의 가정교사 자리에 올 수밖에 없었다. 아픈 어린시절을 겪은 애니는 헬렌 몰래 혼자 헬렌의
인형을 갖고 놀기도 했다. 구호소에서 학대를 받아서인지 정서적으로 냉정하고 불안한 면도 있었다. 늘 헬렌에게 희생하고 헌신한 것은 아니었다.
애니는 사명감보다 살아남기 위해 헬렌에게 헌신하지 않을 수 없었다. 메이시와 불행한 결혼 생활도 했고, 연하 남편에게 집착했고, 헬렌에게
들어오는 후원금을 사치하느라 낭비했고 노년에는 헬렌이 벌어오는 돈에 의지했다. 뭐 이런 사실을 전기에 다 밝힌다해서 뭐가 문제랴? 하지만 이
책은 그 점까지 다 밝히진 않는다.
아쉽다, 나는 걍, 한 인간의 삶을 보고 싶었을뿐인데.
아동용 책이라면 나쁘진 않지만, 이 책이 도서관의 성인역사 코너에 꽂혀있기에, 이렇게 냉정하게 별 두개를 달아 리뷰에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