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르시아 문화 ㅣ 살림지식총서 144
신규섭 지음 / 살림 / 2004년 12월
평점 :
책 좀 읽고 의식 있는 분들은 안다, 서구 문명의 자랑인 르네상스가 사실 찬란한 이슬람 중세 문명에 빚지고 탄생했다고. 그런데 그 아랍
이슬람 문명의 토대는 페르시아 문화라는 것은 잘 모른다. 그 빛나는 이슬람 문명에 등장하는 기라성같은 과학자 수학자 문학자 번역자 대부분은
페르시아인인데 단지 기록만 당시 국제어이던 아랍어로 기록했을뿐이라는 것을 잘 모른다. 아니, 이슬람이면 다 같은 이슬람이지, 아랍 이슬람권과
페르시아 이슬람권으로 나뉜다는 것, 민족 어족 역시 셈과 아리안으로 다르다는 것조차 모른다.
세계 이슬람권 중 중동 이슬람권은 크게 아랍 이슬람권과 페르시아 이슬람권으로 나뉜다.
이란과 아프가니스탄, 그리고 온갖 - 스탄으로 끝나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페르시아 이슬람권에 속한다. 이 페르시아 이슬람권에서 고대 주요 종교인
조로아스터교, 불교, 마니교가 발생한다. 현재 이란의 종교인 이슬람교는 말하자면 외래종교이다. 그래서 그들은 아랍 이슬람의 수니파와 다른 쉬아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쉬아파는 기존 페르시아의 사상을 계승했다. 이들의 신비주의 수피즘은 오랜 역사를 지닌 것이다. 사실 인류 최고대 문명인
메소포타미아 문명도 서쪽으로 이동해간 이란 고원의 원주민인 수메르인이 건설했으니, 페르시아가 인류 문화에 미친 영향은 참으로 지대하다.
그렇다, 나도 제대로 알지 못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페르시아 이슬람과 쉬아파 연관은 알았지만 페르시아에 불교 국가가 있었다는 것은
몰랐다. 파르티아가 왜 중국에 안식국으로 기록되는지 의아했다. 안식국은 애쉬커니 왕조의 이름이었단다. (그러고보면 신라 고분에서 페르시아 유물이
나오는 것이 확 이해가 간다. ) 그리고 둔황 등지와 실크로드 지역을 막연히 서역인 줄 알았는데 이제보니 그들은 페르시아 쪽 사람들이 활약하던의
곳이었다. 인도 사람인줄 알았던 달마 대사(인도 아리안이 아니라 페르시아 아리안이셨음)도 페르시아 인이었다니! 이태백도, 안록산도! 당나라 시절
장안을 들었다 놨다했던 '호희'들도 다 페르시아 미인들이었다! 아, 이태백이 포도주를 좋아했던 것도 이유가 있었어!
얇은 책이지만 몰랐던 내용이 너무 많아 지금 머리가 띵하다. 이태백과 오마르 하이얌, 하페즈, 루미 등 페르시아 중세 시인들의 작품
연관성을 생각해보니, 신세계가 눈앞에 펼쳐지는 것 같다. 아, 평생 읽고 공부하는 즐거움이란 이런 것! 그렇지? 달아 달아 밝은 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