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데렐라 천년의 여행 - 신화에서 역사로
주경철 지음 / 산처럼 / 2005년 5월
평점 :
절판


(내 나름 주경철 저자 저서 찾아 읽기 4부)

 

어린 시절 누구나 해 보았음직한, '신데렐라와 콩쥐는 왜 이리 비슷한가?'에 대해 아직도 궁금하시다면, 읽어 볼 만하다. 어떤 이야기의 어떤 부분은 신화로 남고, 어떤 부분은 기록 이전의 역사로 인정되며, 어떤 부분의 모티프는 현대에서까지 문학으로 재생산되는가, 하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1부는 신데렐라 이야기 분석이며, 2부는 세계적으로 1000종이나 있다고 하는 신데렐라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다. 샤를 페로와 디즈니의 왜곡 이전 신데렐라 민담의 여러 형태를 접할 수 있다. 서양 경제사를 전공하신 분의 이런 시도 자체가 흥미롭기도 하다.

 

저자는 신데렐라 등 민담은 어린이의 성숙을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는 기본 설을 바탕으로, 외디푸스 콤플렉스 등 정신분석학의 연구 성과를 더하고, 1000 여종의 이야기를 관통하는 외짝 신발의 모티프와 재생 이미지를 통해 신데렐라는 역사이전 샤먼이라는 견해에 이른다. 

 

사이사이, 관련 연구 서적을 요약, 소개받는 재미가 쏠쏠하다. 사놓고 읽지 않은 <고양이 대학살>과 <마녀와 베난단티의 밤의 전투>를 읽어야 겠다.

 

***사족

 

1 책에 우리나라의 콩쥐가 개화기에서 1920년대에 걸쳐 서구에서 유입된 이야기라는 내용이 있는데, 그렇다면 중국 남부와 베트남의 이야기와 우리의 콩쥐 이야기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팥쥐로 젓갈담그는 모티프는 어떻게 보야야 할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2 난 어릴적 심청전을 접하고, 청이가 효심에서가 아니라 아비 봉양의 의무감에 지쳐 스스로 자살을 선택한 것이 아닐까, 하는 실로 나이에 걸맞지 않은 깜찍한 생각을 했드랬는데, 본문에서 저자가 이런 견해를 언급해 주셔서 반가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