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의 미망과 광기
찰스 맥케이 지음, 이윤섭 옮김 / 창해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7,8년 전에 읽은 책인데 문득 떠올라 다시 훑어 보고 리뷰 올린다.

돈은 대중을 광기로 몰아 놓었다. 진지한 성향의 민족이 갑자기 도박꾼이 되어 모든 것을 투기에 걸었다. 이 책의 목적은 모든 광기를 추적해서 소개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집단적 사고에 사로잡혀 미치기도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한 사람씩 천천히 제정신으로 돌아온다.  - 본문 14쪽

이 책이 처음 소개 되었던 시점에는 주식 투기 등과 관련하여 미시시피 계획, 남해 회사 거품사건, 튤립 투기 대소동에 중점을 두어 각 언론이 소개했었던 기억이 난다. 지금도 투자 관련 서적에서는 이 책을 거의 고전으로 언급, 인용한다고 한다. 그러나 내게는 십자군 전쟁, 마녀 사냥, 연금술 등의 부분이 인상깊었다. 그래서 이 책을 기본 가이드북으로 하여 관련 서적들을 더 깊게 파고들었었다. 그리고 어느 정도 내 사고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경험한 듯한 착각을 했더랬다.

지금 다시 보니, 1814년에 태어난 저자가 1841년에 이 책을 저술하면서 어쩌면 이런 시각을 보여줄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물론 계몽주의와 이성 신봉의 시기에 살았기에 이런 비판적 시각의 서술이 나올 수도 있었으리라. 그러나, 당시 똑같이 계몽주의의 세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계몽과 이성의 방향이 오로지 자신들만의 세계 옹호와 타자들에 대한 폄하에만 머물러 있었던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러나 광신에서 비롯되었고 잘못이 많았으나, 십자군이 전혀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봉건 영주들은 우월한 문명과 접촉해서 좀더 각성하게 되었다. 민중들의 권리도 조금은 향상되었다. 유럽인들은 힘든 경험을 통해 미신에서 조금씩 벗어나 다가오는 종교개혁을 맞이할 준비를 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하느님은 광신을 통해 서구인들에게 문명의 발전을 가져오게 한 것이다. - 본문 266쪽에서

1841년 당시에 이슬람권 문명의 우월성과 종교의 광신을 인식할 수 있었던 저자라니. 역사서를 읽어 가면서 이런 생각을 종종 한다. 한 사람이 자신이 속한 시대와 사회의 틀을 뛰어넘어 사고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하는 생각을. 읽던 당시에도 나를 변화시키고 일깨운 책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지금 다시 보니 책의 기본 내용 외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이었다. 아쉽게도, 절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