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코 사라지지 않는 로마, 신성로마제국 - 실익과 명분의 천 년 역사
기쿠치 요시오 지음, 이경덕 옮김 / 다른세상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로미오와 줄리엣>을 보면서 당시 이탈리아 도시 국가 내에서 황제당과 교황당의 대립을 생각해보다가 찾은 책이다. 전공 외 분야 사람이 쓴 일본 대중 역사서에 대해 약간 경계하는 마음이 있는 지라, 책 주문하기 전에 좀 망설였다. 리뷰도 하나도 없었고. 단지 역자이신 이경덕씨 이름만 보고 주문했는데 다 읽고 난 지금 상당히 책이 마음에 든다.

 

잘은 모르지만 고대 로마 제국이나 동로마제국에 대한 책은 많은데 비해 신성로마제국을 한 번에 꿰어 서술해주는 책은 없는 것 같다. 비슷한 컨셉의 책으로, 전에 <유럽의 합스부르크 왕가>란 책을 도서관에서 읽은 적이 있었는데 왠지 산만하고 짜깁기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나마 절판이어서 다시 참고하려고 보니 이제는 책을 구할 수도 없었다. 이쪽 역사는 독일사, 오스트리아사, 이탈리아사, 네덜란드사, 스페인사 등등에 걸쳐져 있기에 한 권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운데 이 책을 만나서 반갑다.

 

이 책은 서로마제국 멸망 이후 나폴레옹 시대까지 약 천 년을 다루고 있다. 800년 샤를마뉴가 서로마제국 황제가 되고 962년 오토 1세가 황제가 되며 1034년 '로마제국'이란 명칭이 잘리에르 왕조의 공식 문서에 첫 등장한다. 1152년에는 바르바로사 프리드리히 1세가 '신성제국'이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제후 소집장에서 사용하며 1254년, 드디어 '신성로마제국'이란 국호가 홀란트 백작 빌렘에 의해 등장, 1512년 막시밀리안 시절에는 '독일 국민의 신성로마제국'이라는 국호가 정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신성로마제국은 과거 세계 제국이었던 로마제국을 계승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었으나 결코 세계제국인 적이 없었다. '독일 국민의'라는 수식어가 나중에 붙은데서 알 수 있듯.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성로마제국은 기독교의 수호자란 입장과 세계제국 표방을 결코 포기하려들지 않았다. 여기에서 독일을 중심으로한 유럽 역사의 여러 독특한 문제가 발생한다. 황제들의 이탈리아 지배에 대한 집착이라든가, 종교 전쟁을 벌일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제후들에게 지나친 권한을 준 결과 독일의 독특한 연방제 역사가 형성되었다든가,,, 이후 나폴레옹의 황제에 대한, 히틀러의  제국에 대한 집착이라든가,,, 많은 것을 파악하게 해 주는 책이다.

 

위와 같이 요약해 놓으니 책이 지나치게 연대기적이고 딱딱하게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책은 전혀 딱딱하고 지겹지 않다. 오스트리아 문학을 전공한 저자는 군데군데 문학적이고 위트있는 표현을 숨겨 놓고 있어서 독자에게 은근 읽는 재미를 준다.

 

요컨대 제국을 비롯한 당시 사람들은 신성로마제국을 단순한 독일제국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제국 당국 또한 최후의 보루였던 '신성'이란 말을 이미 버렸다. 즉 당시 제국은 유일한 생명 유지 장치를 스스로 떼어내고 이미 숨을 끊은 상태였다. 그 때문에 프란츠 2세의 제국 해산 칙서는 제국의 사망 진단서가 아니라 유체의 매장 허가증과 같은 것이었다.                                  - 본문 19 ~ 20쪽.

 

그는 철두철미하게 훌륭하지 않은 황제였다. 다만 그에게 다른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절대적인 무기가 하나 있었다. 프리드리히의 유일한 기술은 오래 사는 것이었다. 그가 끈덕지게 살아 있는 동안 "신은 적을 죽였다."                - 본문 188쪽.

 

위와 같은 표현, 참으로 절묘하지 않은가.

 

*** 의아한 점, 잘못된 점

 

* 44쪽 서기 800년경 카를 대제의 제국 지도인데 그 당시 남부 이탈리아에 베네치아 공국이 무언지?

* 95쪽 슈타우펜, 벨펜 집안 계보도에서 프리드리히 1세의 아버지는 프리드리히 독안공이다. 하인리히 오만공이 아니다. 잘못 나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낭만낭인 2016-02-22 1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당시 베네치아가 실질적으로는 독립국이었음을 나타내는 것 아닐까요? 물론 형식적으로는 비잔틴 제국령이었고, 내부적으로는 친비잔틴 / 친프랑크 / 독립파 등으로 나뉘어 갈등이 있던 때이지만요...

자유도비 2016-02-23 10:46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본문 리뷰에 지도 사진 추가했습니다. 보시면 제가 왜 그런 지적을 했는지 알 거에요. 베네치아가 저 위치에 있으면 안 되지요.

낭만낭인 2016-02-23 17: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베네벤토 공국이군요... 위의 스포렌체도 스폴레토 공국일 겁니다. 사르데냐도 이름은 틀리지 않았지만 아직까진 비잔틴령이었을텐데... 그러고 보니 애시당초에 멸망해버린 부르군트 왕국도 프랑크 왕국의 오기인 듯합니다. 진짜 엉망진창인데, 감수도 제대로 안 한건지? -_-;

아무튼 좀 더 정확한 지도는 샤를마뉴 사후지만 아래를 참고하시는 게 좋겠네요.
http://www.edmaps.com/empire_charlemagne1.jpg

자유도비 2016-02-24 14:17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부르고뉴도 아니고 저 시대에 부르군트라니!
다시 자세히 보니 말씀대로 총체적으로 엉망진창인 지도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