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염과 머리카락을 중심으로 본 체모의 문화사
다니엘라 마이어.클라우스 마이어 지음, 김희상 옮김 / 작가정신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 참 재미있다. 리뷰 쓸 생각만 해도 즐거워진다(그 이유는 맨 밑에).

 

깊이 공부하려면, 학자들의 클래식 저서들을 읽는 것이 낫다. 잘 안다. 하지만 이런 흥미로운 관점으로 서술된 대중 역사서를 읽는 것은 정말 포기할 수 없는 오락거리이다. 게다가 "털"이라잖은가! 도대체 이런 내용을 가지고도 역사서를 쓸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들을 만나면 사는 게 다 즐거워지는데 아니 읽고 어찌 견디겠는가!

 

이 책에서는 수염, 머리카락, 눈썹, 속눈썹, 다리털, 겨털 등 다양한 체모들과 대머리의 역사와 관련한 가벼운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결론적으로 체모를 밀건 기르건 다듬건, 가발을 쓰든 말든, 그건 전적으로 그 시대 그 문화권의 권력이나 취향이나 종교, 성차별에 달린 문제라는 것.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다. 메로빙거 왕조시절 긴 머리카락은 왕권의 상징이었지만 지금은 머리와 수염을 텁수룩하게 기르는 것은 좌파의 상징이라는 것. 예를 들어 체 게바라. 늘 면도해야하고 지나치게 미끈하게 여성의 체모를 제거해야만 하는 미국의 경우, 늘 젊고 섹시하게 보여야하는 그들 문화와도 관련있다는 것. 여성의 긴 머리는 유혹의 상징이기에 머리를 가려야 하는 문화권의 이야기도 있고 내가 좋아하는 늑대인간과 빨간머리 이야기도 있다.

 

<라푼쩰>의 긴 머리카락에 대해 참신한 해석이 있지 않을까 싶어 읽은 책인데, 여성의 긴 머리와 남성의 성욕 도발의 관련성 부분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이상의 정보가 없어서 아쉬웠다. 하지만 뜻밖에 바르바로사 프리드리히1세 부활 전설의 구체적 내용을 건져서 기뻤다. 다른 책에서는 그냥 아더왕과 같이 민족이 위기에 처하면 다시 나타난다고 슬쩍 언급되어 있었는데 말이다. 읽은 보람이 있었다.

 

이렇게 아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독특한 문화사책을 소개하게 되어 기쁘다. 이 짧은 리뷰를 쓰는 내내 즐거웠다. 왜냐하면, 이 글을 읽고 책에 관심을 가질 친구분들의 얼굴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자, 이제 진실을 밝혀야지. "이 책 절판이랍니다! 약오르시죠? 핫핫!"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