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스 혁명의 가족 로망스
린 헌트 지음, 조한욱 옮김 / 새물결 / 1999년 10월
평점 :
품절
블로그 하기 전, 조한욱 선생님께서 소개해주신 책은 다 읽던 시절에 읽었던 책이다. 한 십년 만에 다시 읽으니 처음 읽었을 때와 너무도 달라 나 자신이 어리둥절하다. (처음 읽었을 때는 약간 거부감을 가졌던 것 같다. )
이 책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토대로 프랑스 혁명에 대해 새로운 해석(이제 시간이 꽤 흘렀으니 새롭지 않게 되었지만)을 보여준다. 저자는 <토템과 터부>를 토대로 혁명 당시 프랑스 사람들이 가부장적 존재로 여기던 국왕을 처형함으로써 어떻게 아버지 살해를 통해 형제애(박애, 라고 주로 번역되는)를 추구하고 왕비를 새로운 희생양으로 삼아 가족 구조를 복원하는가에 대해 고찰한다. 당시 프랑스 민중의 집단 무의식을 소설이나 포르노그라피 등의 인쇄물을 통해 분석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특히 '4장 나쁜 어머니'편에서 가족 로망스 차원에서 마리 앙트와네트에 대한 공격을 분석한 부분은 프랑스 혁명사나 여성사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꼭 읽어보시길 권한다. (절판인데 이런 말씀 드려서 죄송!)
공화파의 남성들이 마리 앙투와네트를 처형했을 때, 그들은 단순하게 반혁명의 지도자를 벌하는 데에 관심을 두었던 것이 아니다. 그들은 캐롤 페이트먼이 논하듯 어머니들을 공적 행위로부터 분리시키면서 스스로가 새로운 정치적 조직을 탄생시키기를 원했던 것이다. (중략) 요컨데 그들은 가부장적 아버지와 어머니를 살해해야 했던 것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아버지의 살해에는 인격적인 중상비방이 거의 뒤따르지 않았다. (중략) 공화주의적 덕성이라는 이상은 남자들간의 형제애에 기반하고 있었으며, 여기서 여성은 가정의 영역으로 추방되었다. (중략) 마리 앙트와네트 및 공적으로 활발한 다른 여성들을 공격함으로써 공화파의 남성들은 서로간의 유대감을 강화시켰다.
- 본문 171 ~172쪽에서 인용
하지만 열 살 더 먹은 지금 다시 읽어봐도 여전히 "사드의 텍스트는 포르노그라피와 정치 간의 나약한 연결고리를 파괴시키려고 위협하며, 이 과정에서 공화주의의 가치를 전면적으로 위협한다(본문 190쪽에서 인용)"라는 사드 부분 분석은 동의하기 어렵다. 하지만 저자가 말하는 '가족 로망스'라는 개념이 새로운, 가부장적 권위에서 벗어난 정치 체제를 상상해보기 위한 창조적 노력이었다는 것에는 동의한다. 아버지의 권위, 아버지의 질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에서 늘, 역사와 문학은 출발하는 법. 한 인간 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