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화사
구태훈 지음 / 재팬리서치21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폴 발리의 <일본문화사>를 읽다가 잠시 덮어 두었다. 서양 저자의 일본 관련한 역사서를 읽으면 저자의 공부 부족인지, 일본의 국력 덕분인지 고대사 부분에서 한반도의 영향을 거의 서술하지 않거나 축소, 왜곡하는 경우가 많아 종종 열 받는다. 그래서 국내 저자의 일본 문화사를 다시 찾아 보다가 이 책을 만났다. <일본사 파노라마>를 좋게 읽었던 기억이 있어 믿고 골랐는데 다 읽은 지금 나의 선택에 만족한다.

 

저자는 일본 문화를 고대, 중세(가마쿠라 바쿠후 성립부터), 근대(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즉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부터)로 크게 나눠 서술한다. 더 자세히 메모해 놓자면 이러하다, 일본의 신석기 시대이며 조몬 토기로 유명한 조몬 문화 - 벼농사를 시작한 야요이 문화 - 초기 왕조가 성립한 고분 문화 - 쇼토쿠 태자와 호류지 금당 벽화등 불교 문화가 유명한 아스카 문화 - 천황을 칭하기 시작한 하쿠호 문화 - 도다이지 대불로 유명한 나라 시대 - 교토로 천도하며 일본적 문화가 완성된 헤이안 시대 - 최초의 바쿠후가 성립한 가마쿠라 시대 - 다음의 바쿠후인 무로마치 시대 - 화려한 아즈치 모모 야마 시대 - 도쿠가와 이에야스 바쿠후가 성립된 에도 시대. 저자는 메이지 유신 이후 메이지 시대 - 다이쇼 시대 - 쇼와 시대 - 현재 헤이세이 시대는 다루지 않는다. 아무래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문화를 살펴 보려면 다시 폴 발리의 일본 문화사를 읽어야 할 것 같다.

 

가부키나 조루리 등 일본 전통 유예들이나 우키요에 등 일본미술사, 무사도, 하이쿠 등등 각각의 주제별 책으로 읽었던 내용을 통시적으로 한번에 꿰어 기원과 변천의 맥락을 파악하며 읽는 재미가 좋다. 좀 지루하지만 이렇게 이따금 통사류 이론서를 읽어 주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했다. 가마쿠라 바쿠후 시절의 무사도와 에도 시절 무사도의 변천을 한 눈에 비교하며 읽을 수 있었던 것 , 또 그동안 메이지 유신 관련한 역사서에서 미토번의 미토학이 존왕론의 원류가 되었다는 정도만 알았는데 이 책을 통해 1657년 미토번에서 편찬한 <다이니혼사大日本史>에 관여했던 학자를 중심으로 형성된 학풍이 미토학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서 좋았다. 아무렇게나 내가 주워 모아 놓은 서 말의 구슬을 이 책이 꿰어 보배를 만들어 주었다고나 할까.  한편 일본이란 나라의 지리적 특수성 때문인지, 청동기와 철기가 별 시차없이 동시에 전래된 점, 그리고 주자학 양명학, 고증학 등 유학들 역시 별 시차없이 한꺼번에 전래된 것도 흥미롭다. 에도 시절에 이미 여러가지 실용서가 발간되어 인기를 끈 것을 보니, 일본의 세세한 실용서 출판 강세가 하루이틀의 일이 아니라 전통과 역사가 있음도 알게 되었다. 다시 한번, 나같은 독학 독서인에게 통사류 이론서의 존재가 필수적임을 느낀다.

 

구태훈 저자의 책은 이제 2권 읽었지만, 내용 설명과 전개가 깔끔해서 내 취향에 맞는 느낌이다. 쓸데없는 "작가의 개입"이 없어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