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전 雙典 - 삼국지와 수호전은 어떻게 동양을 지배했는가
류짜이푸 지음, 임태홍.한순자 옮김 / 글항아리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출간 당시에 관심을 가졌으나 사 읽을까 말까 살짝 고민했다. 책 소개글이나 블로거분들 리뷰만 읽어 봐도 뻔한 내용일 것 같아서였다. 미루고 미루다가 반 년 만에 사 읽었는데 역시나 내용은 뻔했다. <삼국지><수호전>을 '쌍전'이라 칭하며 이들이 중국인의 심성과 중국 문화에 끼친 악영향을 거품물고 고발하는 내용이었다. <수호전>은  지나친 폭력성이, <삼국지>는 권모술수의 집합체인 것이 문제란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어려서는 <수호전>을 보지말고, 늙어서는 <삼국지>를 보지 마라.'는 말도 있다고 한다.

 

맞는 말이다. 비단 중국 뿐이겠는가. 이웃한 우리나라나 일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왜 <삼국지>가 중고교 논술 필독서인지 이해가 안 간다. 다양한 인물 군상을 만나는 재미가 있어서<삼국지>를 좋아하기는 하지만, 나는 늘 <삼국지 연의> 자체의 가치관도 그렇고, 평역자에 따라 주입되는 가치관도 영 꺼림칙했다. 그러나 이 책의 필자처럼 이 쌍전을 '대재앙'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독자들의 두뇌가 그렇게 단순할까? 저자의 이런 견해는 폭력 영화 때문에 살인범이 양산된다는 논리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특히 고대, 중세에 전승되어 기록된 문학의 경우 대부분이 폭력적이며 현대 우리의 가치관에 맞지 않는 내용들을 담고 있지 않은가. 그건 그 시대의 특성이다. (쌍전 저자 식으로 생각하면 기독교의 <성서> 중 창세기도 폭력음란물이게? ) 그리고 저자는 자신의 의견에 대한 근거도 명확하게 대 주지 못한다. 그저 쌍전의 본문 내용 인용 뿐이다. 정말로 쌍전이 중국인의 가치관에 그런 악영향을 미쳤다면 텍스트 인용보다 이와 직접적 관련된, 인과 관계가 드러난 사건사고의 예를 들어 주어야 하지 않았을까? (저자는 아니지만 서문을 쓴 린강이라는 사람이 든 예는 정말 웃기다. <삼국지>에서 배운 권모술수로 후금이 명 황제 숭정제로 하여금 명나라 장수 원승환을 죽이게 이간질하여 명을 멸망시키고 청나라를 세웠다는데, 그럼 그토록 <삼국지>를 읽고 많은 영향을 받아온 정통 한족 명나라 사람들은 왜 그런 권모술수에 쉽게 넘어갔을까나? )

 

책 자체 내용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까지만. 이하는 이 책을 읽으며 내가 두서없이 한 생각들.

 

이 책을 읽으면서 꽤 흥미로운 독서체험을 했다. 이 텍스트 한 권을 통해 층층이 여러 입장들이 계속 읽혔다. 저자가 한 줄로 쓴 내용 안에 한 문단의 숨은 내용이, 객관적 사실 진술로 보이는 표현 아래 저자가 서 있는 편파적 입장이 보이는 것 아닌가. 마치 영화 <인셉션> 처럼 한 꿈에서의 작은 충격이 꿈 속의 꿈에서는 더 큰 충격으로 나타나는 것 처럼 말이다.

 

일단, 나는 저자가 <홍루몽>전문가이기 때문에 <삼국지>와 <수호전>보다 <홍루몽>을 높이 평가한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이 저자를 통해 현대 중국 지식인들의 의식을 엿볼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저자가 중국 문화를 원형 문화와 위형(僞形)문화로 나누고 쌍전보다 <홍루몽>과 <서유기>를 더 높이 평가하는 근거를 중국 고전 <산해경>에서 찾는 점에 관심이 갔다. 중국 근대 지식인들은 공자 이전 고대 중국문화를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게다가 시대탓인지, 양무운동 시기를 거쳐 20세기 초까지 양계초나 루쉰같은 중국 근대 지식인들은 중국 전통문화와 국민성을 흑백논리로 나누어 흑에 속하는 쪽을 엄격히 배격하는 경향이 있는데, 2000년대의 이 저자 또한 그러한 100년전의 사고를 그대로 답습하는 듯했다. 여기에서 진정한 지식인이라면 자국 문화나 민족성의 바람직하지 못한 측면까지 인정하고 객관적으로 더 큰 틀안에서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이 저자는 왜 이런 저럼한 수준으로 자국의 고전과 자국민의 민족성을 비판하였을까? 아직까지 아편전쟁과 청일전쟁의 패배와 중화의식을 훼손당한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일까? 만청을 비판하는 한족 지식인의 시선도 보이는데 왜 그럴까? 천안문 사건 이후 중국을 떠나 집필하고 있는 상황에서, 계속 1980년대 지식인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서 정체된 외부자의 시선으로 조국을 비판하게 된 것일까? 혁명과 패거리 문화를 비판하는 것은 공산당 비판일까? 등등,,, 그리고 이 저자의 서술에 기본 배경지식으로 등장하는 내용이 기본 중국독서인들의 상식이라면, 이를 보고 이해하는 나의 지식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이들 중국 지식인의 '포즈'를 파악하는 나의 시선은 과연 정당한 것일까,, 등등. 아놔, 머리 아파라. 이 책은 책 내용 자체보다 다른 측면에서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 주는 책이었다. 그러니, 이 책은 돈 주고 사 읽은 값은 정확히 한 셈이다.

 

지금 나도 걱정이다. 이 책에 대한 리뷰를 이렇게 쓰는 나를 보면서, 이 리뷰를 읽는 당신은 나보다 한 단계 높은 층에서 얼마나 나의 후진 지식과 가치관을 어떻게 층층이 파헤쳐 볼지. 아놔, 창피하다. 그래도 일단 쓴다. 제발 한 반 년 후에 내가 이 리뷰를 보고 얼굴 화끈 달아오를 만큼 발전해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