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여성들, 부자유한 시대에 너무나 비범했던
박무영.김경미.조혜란 지음 / 돌베개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만원권이 새로 발행될 때 신사임당에 대한 평가 논란이 한 번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순신장군 만큼이나 군사정권 시절 잘못된 선전 때문에 외려 후대인에게 반감을 주는 인물이 신사임당이다. 그녀의 예술가로서의 업적을 떠나 성현 이이를 아들로 낳았다는 사실만이 위대하여 높이 평가받은 인물. 현모양처의 전형으로 갇혀버린 인물이다. 반면 허난설헌은 그녀의 문학적 성취보다 비극적 개인사 때문에 존경받는 여성 인물의 반열에 오르지 못한다. 웃긴다.

 

더 웃긴 것은 안동 장씨의 입을 빌려 자기가 하고 싶은 헛소리를 짖어대거나 김만덕이 재산을 모은 과정에만 관심을 두고 여성 씨이오 운운하는 남성 작가들의 여성 인물 평전들. 대박 웃긴다.

 

자, 이제 웃을만큼 (비) 웃었으니 이 책을 보자. 신사임당, 송덕봉, 허난설헌, 이옥봉, 안동 장씨, 김호연재, 임윤지당, 김만덕, 김삼의당, 풍양조씨, 강정일당, 김금원, 바우덕이, 윤희순. 같은 인물이라도 여성 연구자의 시각에서 보면 얼마나 다른 면이 보이는지 확인해보자.

 

조선 후기 이후에야 남존여비 성차별이 사회 전반에 굳어졌다. 그런데 우리는 그 이전에 활약했던 여성인물들도 조선 후기 이후의 잣대를 가지고 보는 오류가 있지 않은가. 물론 그 이면에는 모든 시대의 여성들을 남성들의 억압에 신음하며 납작 업드려 살았던 존재들로 여겨 버리고 싶은 일부 보수 남성들의 왜곡이 있었던 것은 사실. 그러나 그 시선에 맞춰 세뇌당한 채로 우리의 선배 언니들을, 우리의 반쪽 역사를 제대로 보지 않고 편견을 갖고 본 것은 폭넓게 읽지 않은 나의 잘못.

 

억압 속에서도 사람다운 품위를 잃지 않았던 사람들의 숨소리를 듣는 것은 그들의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이다. (중략)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넘어서 삶에 진실한 사람은 언제나 존경받아야 한다.

- 서문에서

 

조선의 여성에게는 공적인 명예를 얻을 기회가 열려 있지 않았다. 조선 후기에 열녀가 되기 위해 그렇게 많은 여성들이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 이유는, 여성의 경우, 그 방법만이 개인적으로 공적인 명예를 획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조선 여성에게 공적인 명예란 죽은 후에야 비로소 누릴 수 있는 것이기도 했다. 이에 비해 만덕은 살아서 공적인 명예를 얻고 자신이 그 열매를 누린 여성이다. 그것도 제주의, 한때 기생이었던 여성. 주변부의 징표를 이렇듯 여러 개 겹쳐 가지고도 그녀는 살아서 공적인 명예를 누린 몇 안 되는 조선의 여성이 되었다.

 -본문 206 ~ 207쪽에서 인용. (밑줄은 내가 쳤음. 저자의 시선에 감동받아서. )

 

친구분들께 강추한다. 신사임당의 '안토니아스 라인'과 이옥봉의 남편에 의한 필화 사건, <자기록>에서 열녀가 되지 못한 자신을 고백한 풍양 조씨,,, 읽다보면 눈물이 한 바가지 쏟아진다. 부인을 스승으로 여긴 강정일당의 남편 윤광연의 경우에는 옛날에도 여자의 재능을 알아보고 키워주는 멋진 남성이 있었구나 싶어 마음이 훈훈해진다.

 

세 사람 공저인데 글의 수준 편차가 없다. 인물을 평가하는 시선도 일관성이 있다. 세 분이 얼마나 많은 시간을 모여서 머리를 맞대고 토론하고 고민했을지, 이로보아 짐작이 간다. 일면식 없는 내가 독자로서 감사한 마음이다.

 

또, 각 꼭지 처음에 관련 연구 논문 소개가 있어 더욱 값지다. 다 찾아 읽어 버릴테닷~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