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절대 군주는 어떻게 살았을까? - 근대 민음 지식의 정원 서양사편 8
임승휘 지음 / 민음인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얇지만 알찬 책이다. 중세 봉건제 붕괴 이후 근대 시민 국가로 가는 과정의 과도기적 성격으로 간략히 치부되는 절대왕정시기를 훑어보기에 좋은 입문서이다.

 

제목과 달리, 유럽의 웅장한 궁전에서 펼쳐지는 절대군주의 사생활 위주가 아니다. 이 책은 절대군주의 정의, 탄생 배경, 주권에 대한 이론 등 충분한 역사, 사회 배경 설명 후에 프랑스와 프로이센의 절대 왕정을 다룬다. 물론 태양왕 루이 14세의 베르사유 궁전 생활이 가장 많이 등장하기는 한다.

 

대개 절대 왕정의 성립 이유로, 스스로 무장하여 독립적 생활을 했던 중세 기사 귀족의 몰락을 가져온 총포류의 등장과 상비군 제도를 든다. 이제는 거의 상식이 되어 버렸다. 그런데 절대 왕정의 몰락에 대해서는 혁명이나 시민 계급의 성장 등을 들며 어물쩍 넘어가버리는 역사서가 많다. 이 책은 바로 그 점을 집중척으로 파헤쳐준다는 점에서 좋았다. 특히 절대 왕정시기 프랑스의 경우, '짐은 곧 국가다'하는 식의 왕의 신격화와 절대 왕정을 뒷받침한 관료제(정확히 말해 관료제의 오용)가 오히려 왕정의 몰락을 가져 왔다는 점!

 

그러나 국왕을 신성한 존재롤 부각시키려는, 그래서 모든 제약에서 해방되어 오직 신에게만 책임을 지는 절대 군주를 만들려는 야심은 분명히 시한폭탄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국왕이 살아 있는 신이 되면서 분명 정치적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중략) 문제는 왕의 신격화를 통한 절대주의의 완성이 불가피하게 관료제를 통한 권력의 공적 기구화와 결부되었다는 점이다. 애초에 왕의 개인적이고 사적인 의도로 추진된 국가였지만, 개인적이고 사적인 통치권은 점차 공적인 통치권으로 변모하였다. (중략) 통치 기구가 공공화되면서 왕실과 왕가는 그것의 한 기구로 전락하고 결국 아무것도 아닌 처지로 떨어질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주권자의 신격화는 그의 사라짐에 대한 예고편이었다.

- 본문  51쪽에서 인용

 

의의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바로 관료제인데, 여기에 관련하여 프랑스에 존재했던 '폴레트 세'도 흥미롭다. 이 독특한 세금은 관직 보유자가 관직 매입 가격에 대한 일정 비율의 액수를 매년 세금으로 납부하면서 이에 대한 대가로 관직의 상속 또는 매각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는 왕정의 세금 수입를 안정적으로 늘리고 관료직에 대한 대귀족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도입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무의미한 관직의 증가와 관직의 완벽한 사유 재산화를 초래했다. 관직을 보유한 자들은 이제 왕정에 대해 더 큰 독립성과 자율성을 갖게 되었고, 이는 절대 군주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부패의 만연으로 이어졌다. 결국 왕은 혁명을 통제할 수 없게 되어 스스로의 몰락을 손 놓고 바라볼 수밖에 없게 된 셈.

 

이렇듯 이 책은 얇지만 잘 몰랐던 정보의 액기스를 다루고 있어 읽기 좋았다. 부록으로 영국이 대륙의 나라들과 다른 길을 간 과정을 다룬 부분도 유익하다. 맨 뒤에는 더 읽어 볼 책들과 봐야 할 영화를 소개하고 있다. 이 시기의 사극 영화를 좋아하는 분이라면 이 책은 절대적으로 유익하다. 

 

민음사는 쓸데없는 선인세 낭비와 출혈 판매보다 이런 국내 젊은 연구자의 인문 교양 시리즈에 치중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