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타로 맛보는 후룩후룩 이탈리아 역사 이케가미 슌이치 유럽사 시리즈
이케가미 슌이치 지음, 김경원 옮김, 김중석 그림 / 돌베개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니, 이분은 누구신가? 정말 세상은 넓고 고수는 많다. 이 분의 저서를 한 권 읽었다가 감동받아 6권을 연달아 읽었다.  이렇게 친근하게 쉽게 대중 역사서를 쓰는 능력을 훔치고 싶었기 때문이다. 거기에 일부 일본 교수들의 섬나라 우물안 개구리같은 왜곡된 시선도 없다. 현재 60대이신데 여성사 관련 쪽 편견도 없다.

 

돌베개에서 나온 이 저자분의 시리즈, 이탈리아사, 프랑스사, 영국사, 독일사 4권 시리즈 전체를 놓고 비교해 말하겠다. 이 시리즈는 각각 파스타, 과자, 왕, 숲이란 주제를 놓고 각국사를 한번 돌린다. 발간 순서대로 점점 깊어지는 느낌이다. 이번 리뷰에 쓰는 <파스타로 맛보는 후룩후룩 이탈리아 역사>는 음식문화사에 이탈리아 통사를 조금 곁들인 느낌이다.

 

그리 중요하지는 않지만, 굳이 내용을 요약해 본다면 이렇다. 이탈리아의 국민 음식인 파스타는 원래는 가난한  이탈리아 민중이 마음껏 먹을 수 있는 주식이 아니었다. 밀값이 비쌌기 때문이었다. 여기에 저자는  슬쩍 오랫동안 수많은 이민족들의 침입을 받아 왔고, 외세에 지배당한 고대, 중세 역사를 넣는다. 그래서 비잔틴 제국을 거쳐 이슬람의 지배를 받던 남쪽은 아랍 세계로부터 건조 파스타를 받아들여 발전시켰고, 경질밀을 재배하기에 부적합한 북쪽은 일찍부터 생파스타가 발달했다. 중세, 근대의 도시 국가와 해양 진출 발전을 말하면서는 나폴리같이 무역의 거점이 되는 항구 도시들에서는 생파스타와 건조 파스타가 다양하게 발전했다는 이야기를 한다. 저자, 영리하다. 15세기 후반 스페인, 포르투갈이 신항로를 개척한다. 이들이 들여온 고추, 토마토, 호박 등 신대륙의 식재료로 파스타는 다채로워지며 점점 오늘날의 모습과 비슷해진다.  양 시칠리아의 농민은 아라곤에 이어 합스부르크, 부르봉 스페인의 지배를 받으며 지주에게 착취당한다. 16~17세기에 대대적으로 발생한 흉작과 역병, 더욱 심해지는 열강과 지주의 횡포로  농민들은 가축 사료로나 쓰이던 감자, 옥수수 등도 식재료로 활용했고, 이는 파스타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잔치 등 특별한 날에만 먹는 귀한 음식이었다. 한편, 귀족과 부르주아 계급도 파스타를 즐겼다. 이들은 라비올리같이 화려한 만두 파스타를 즐겼다. 농민들과 달리 파스타는 배불리 먹는 주 요리가 아니라 코스에 나오는 요리 중 하나였다. 이렇게 이탈리아의 파스타는 다른 계급에 의해 각각 다르게 발전한다. 19세기 후반, 드디어 통일 이탈리아가 성립한다. 이때 국민 통합을 이룬 것은 파스타였다. 나폴리 해방 당시 가리발디 장군이 “마케로니야말로 이탈리아에 통일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외칠 정도로. 한편 이탈리아 요리의 아버지라 불리는 아르투시는 최초로 각 지역의 파스타를 한 권의 요리책에 정리한다. 표준 이탈리아어를 사용함으로써 문화적으로 이탈리아 통일에 기여했다. 각 지방의 고유한 파스타들은 사라지거나 획일화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캄파닐리스모(이탈리아 향토주의)를 대표하는 지역 명물로 발전했다. 통일 되었지만 이탈리아 경제상황은 열악해서 가난한 농민들은 대거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다. 이에 파스타도 미국 진출을 하게 된다. 그러나 미국은 이민자를 차별하면서 그들의 음식인 파스타를 멸시하고 음식 지도를 했다. 무솔리니 정권은 빵, 파스타, 올리브 유를 장려하여 현재 이탈리아 음식 문화 기본틀을 만들었다. 현재 파스타는 이탈리아 국민을 결집시키는 국민 음식이고 모성의 상징이다,,, 뭐 이렇게 대충 이탈리아 통사와 파스타의 역사가 맞물려 서술된다.

 

한편 파스타는 ‘어머니의 손맛’이라는 미명 아래 가톨릭, 부르주아, 파시즘 체제 하에서 여성을 집안에 가두고 여성의 사회 진출을 막는 도구로 이용되기도 했는데, 이 부분에서 저자는 확실히 쐐기를 박는다. 역시, 유럽 중세사 전공자로서 <마녀와 성녀>를 쓰신 분다워서 혼자 킥킥 웃었다.

 

파스타를 엄마의 상징으로 내세우는 이탈리아의 뿌리 깊은 관념에도 혹시 감추어진 뒷면이 있지 않을까요? 근대 초기까지는 그렇다 치더라도, 여성이 사회에 진출하고 공적 영역에서 활동할 권리나 자유를 주장하기 시작한 시대에 여성을 가정의 틀 안에 가두어 버리는 이미지는 좀 시대착오적인 것 아닐까요?

가톨릭 교회에서는 중세부터 한결같이 여성을 차별해 왔지요. (중략) 그런 고로 여성은 교회가 권장하는 바에 따라 자연히 가정에 틀어박혀 주인어른인 아버지나 남편에게 복종하고 그들을 섬기게 되었던 것입니다. 프랑스 혁명 후에도 가톨릭의 보수성은 별반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 본문 202 ~ 203쪽에서 인용

 

이상이 1장에서 6장까지 내용이다. 1장 앞에 '글머리'라는 꼭지가 있는데 거기에서는 일본 파스타의 역사를 별도로 서술한다. 파스타를 먹은 역사니까 당연히 에도시대부터 서술하겠군, 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건 오산. 일본에 국수가 처음 전래된 가마쿠라 시대부터 시작한다. 이 부분도 흥미롭다.

 

전체적으로 파스타 관련 음식문화사 70%, 이탈리아 통사 30% 정도 구성이다. 그러다보니 깊이 있는 역사 기초 지식 설명은 없다. 친근한 파스타 이야기이지만 독자 개인의 배경 지식에 따라 이 책이 친근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 바로 '밀라노의 스포르차 가문은 ~ ' 이렇게 시작하곤 한다. 반면 기본 이탈리아 통사 다 알고,음식문화사도 다 아는, 예를 들어 콜롬버스의 교환 같은 내용 다 아는 분에게는 시시할 수도 있겠다.

 

역사서 읽기 좋아하는 분들께 강추. 내용의 난이도를 떠나서, 이 부분에서 이 내용을 이렇게 풀어갔구나, 하는 고수의 노하우를 분석하며 읽는 재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