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모든 눈송이와 아주 비슷하게 생긴 단 하나의 눈송이
은희경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모든 눈송이와 아주 비슷하게 생긴 단 하나의 눈송이


 

1.jpg


 

 1996년의 기억 조각보 중에는 <새의 선물>이 있다. 불문학을 동경하던 어린 취향 때문인지 프랑스 작가의 소설만 열심히 찾아 읽던 시절, '책 사랑'으로 말하자면 머리 조아리고 모셔야 할 고수 친구가 소개해주었다.  <새의 선물>은 그 당시 막 유행하던(?) 알랭 드 보통이나 미셀 트루니에의 소설과 완전 다른 매력을 뿜고 있었다. 작정하고 두 달만에 써내린 소설이 이 정도? 와우! 이후로도 은희경의 소설을 종종 찾아 읽었지만 <새의 선물>이 워낙 압도적이라, 그 기억을 넘어서지는 못한다. 

주말, 본격적 두뇌회전을 위한 책을 읽기엔 한가해지고 싶어서 일부러 낭만이 뚝뚝 떨어지는 긴 제목의 소설을 골랐다. <다른 모든 눈송이와 아주 비슷하게 생긴 단 하나의 눈송이>. 작가 이름에 은희경이란 세글자가 없었더라면, 결코 자발적으로 선택해서 읽게 될 책 제목은 아니었다. 뭔가 감상에 질질 늘어질 것 같은 분위기랄까?

*

새벽 1시까지 한 번에 다 읽었다. 재미있었다. 은희경의 사람보는, 세상 보는 눈이 보였다. 감히 추정하기엔 작가에게 미안해지는데, 은희경은 마음이 따뜻해서 국밥 막 퍼주는 스타일의 아줌마가 아니다. 차갑다. 사람을 대상으로서 관찰하지, 깊이 연민을 느끼거나 사랑하지는 않는다. 이지적이다. 냉정한 관찰자.

*

굳이 그런 성향을 감추려고 하지도 않는다. 소설의 내용적인 측면보다도, 은희경이 세상을 관찰하고 사람을 대상화하는 방식에 끌렸다. 예를 들어, 한국 노인들의 성별에 따른 언어용법 차이을 묘사하고 비아냥 거리는 저 문장을 보아라. 삼할은 공감하면서도 그 기저의 냉소적 시선을 느낄 수 있다. <새의 선물>과 연장선에서..... 한국, 스페인, 아이슬란드, 공간을 옮겨다니면서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풀어낼 수 있음은 은희경이 글쓰기 작업 뿐 아니라 "사는 데" 정말 능동적이고 정열적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녀가 어마한 양의 글을 써내려간다는 걸, 새벽 1시에 검색으로 다시 확인하고는 질투와 부러움이 교차하는 마음으로 책을 덮는다.


 

 

2.jpg


 

3.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