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카미 하루키 잡문집 비채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선 1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이영미 옮김 / 비채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 크게 감흥이 없었던 기억이 있다. 아무래도 하루키의명성이 워낙 높아서 기대감이 컸었기 때문일 것이다. 최근에는 하루키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를 실제로 들은 적이 있어서 이 책을 읽을때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 게다가 잡다한 글을 모아놓은 책이다 보니 더욱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책을 통해 '작가' 하루키가 아닌 인간 '무라카미 하루키'를 알게 되었다. 즉 『1Q84』를 비롯한 수많은 장편소설의 대가가 아닌, 재즈를 좋아하고 피츠제럴드와 레이먼드 카버를 사랑하며 나와 마찬가지로 잭 런던을 따르는 일본인을 만났다. 물론 글 속에서 자신이 인기가 많은 작가라는 사실을 간혹 언급하긴 하지만 수상 소감에서조차 그는 평범한 인간임을 드러낸다.


 그런데 계속 반복되어 서술되는 글보다 나의 기억에 남은 것은 『언더그라운드』에 대한 관심이었다. 지하철 사린 사건을 최근에 영상으로 본 적이 있었고 그 사건에 대한 호기심이 증폭된 탓도 있다. 그러나 그 재앙에 대한 하루키의 특별한 접근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사건 자체보다는 가해자들과 피해자들의 인생을 기록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했다. 그리고 작가는 그것을 성공적으로 해냈다. 그래서 이 책에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장편소설들보다 『언더그라운드』가 더 매혹적으로 보인다.


 『무라카미 하루키 잡문집』을 읽고 인간 무라카미를 만났으니, 이제 작가로서의 그의 가르침을 들어야겠다. 시스템이라는 벽에 맞서기 위해 연대해야 한다. 작가는 알의 편에 서서 지친 영혼에 빛을 주어야 한다. 어디에도 새로운 말은 없으며 평범한 말에 새로운 의미나 특별한 울림을 부여해야 한다. 이야기를 만드는 일은 자기만의 방을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 독자는 작가의 방에 들어오면서 무언가를 공유하게 된다. 작가가 이야기를 만드는 순간, 그 이야기가 하나의 생명체가 되고 그것이 작가 자신을 비롯한 다른 사람들에게 진실의 측면을 엿보인다. 이상은 내가 동감한 하루키의 사고방식이다. 내가 소설 쓰는 법에 대한 지침서를 찾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기 생각을 드러내는 법이다. 나는 그로부터 배울 점만 찾아내면 되는 것이다. 고맙습니다, 하루키. 당신의 일상적인 생각이 누군가에게 큰 영감이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