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유정이 돌아왔다. 나는 『7년의 밤』에서 느꼈던 폭발적인 에너지와 서사를 잊지 못했고 다시 그녀의 작품을 선택했다. 내가 이 소설에 대해 들은 것이라고는 '전염병이 발생한 도시의 28일간의 기록'이라는 전반적인 내용뿐이었다. 그래서 작품 초반에 개와 관련된 이야기만 서술되서 다른 작품을 읽고 있는 줄 알았다. 작품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화양'을 뒤흔드는 전염병은 1부의 마지막 서술자인 '수진'의 이야기에서 처음 등장한다. 그 때 나는 『28』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전염병 자체가 아니라는 것을 느꼈다. 후에 작가의 말을 읽고 나서야 정유정이 전염병보다 더 중요한 문제에 집중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28』에 등장하는 다섯 명의 사람과 한 마리의 개, 그리고 그들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생명들은 전염병의 창궐을 계기로 무너지거나 성장한다. 하지만 그들을 파멸시키거나 강하게 해 주는 원동력은 과거의 기억이다. 기준은 가족에 대한 사랑의 화신이며 그에 따라 가족을 잃은 것에 대한 증오를 방출한다. 반대로 동해는 가족에 대한 원망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출하다가 가족을 비롯한 타인과 강하게 충돌한다. 이 소설에서 가장 비극적인 인물인 수진은 상처와 피해의식에 둘러싸인 삶을 살았고 그것을 극복하려고 했지만 끝내 피해자로 남았다. 윤주는 타인을 배려하지 않은 이기적인 달리기에 몰두하는 삶을 살다가 한 숭고한 아이의 등장으로 사랑을 깨달았다. 링고라는 늑대개는 사랑과 본능에 충실한, 시한폭탄에 가까운 존재이다. 그리고 이 소설에서 가장 복잡한 인물인 서재형이 남았다. 그의 결말이 파멸인지 성장인지는 여전히 알 수 없다. 그의 행보는 사랑의 영역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진다. 과연 사랑은 인간만의 가치인가? 서재형의 개를 향한 강렬한 사랑이 결국은 인간을 향한 사랑으로 이어지지 않았나? 그리고 개를 너무나 사랑해서 자신을 죽음에 이르게 하지 않았는가? 전염병으로 인해 사랑이라는 가치가 완전히 무시되고 서로를 학살하는 시대에, 여섯의 생명은 자신의 사랑을 눈밭 위의 발자국처럼 세상에 남긴다(동해의 사랑은 다소 왜곡된 면이 있지만 말이다).


 『28』의 주제인 구원의 역설이란 이런 것이다. 삶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따라 행동하면서 스스로를 구원한다.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도처에 머무는데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는 것 자체가 살아남는 일에 큰 미련이 없다는 증거이다. 그 때문에 수진과 재형이 죽는 장면은 매우 숭고하게 묘사된다. 그들은 피해자와 희생양의 상징이 되었고 살아남은 기준과 윤주에게 강한 깨달음을 준다.


 『28』은 냉정하다. 주인공뿐만 아니라 그들의 주변 인물, 가상의 29만 화양 시민들을 거의 몰살시킨다. 그들의 죽음에는 어떠한 살아나리라는 희망도 없다. 죽음에 대한 묘사는 겨울만큼 적나라하고 차갑다. 재앙의 원인인 바이러스는 원인도, 치료제도 발견되지 않은 채 미궁 속으로 남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8』은 따뜻하다. 서로를 향한 뜨거운 사랑의 열기 때문에. 다른 생명을 구하려는 불타는 의지 때문에. 삶을 향한 열렬한 욕망 때문에. 오랜만에 신선한 충격을 받은 소설을 읽었다. 정유정의 상상력에 다시 한 번 박수를 보낸다. 우선 가상의 도시와 드림랜드의 구조를 치밀하게 설계하는 능력에 놀랐고 의문의 바이러스와 늑대개의 이야기를 연결시키는 창의력에 감탄했다. 그녀의 머릿속에 있는 세계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