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치드 ㅣ 매치드 시리즈 3
앨리 콘디 지음, 송경아 옮김 / 솟을북 / 2013년 7월
평점 :
통제된 사회는 우리의 암울한 미래를 상징한다. 수많은 소설과 영화에서 '디스토피아'라고 불리는, 국가의 강력한 권력 앞에 사람들이 통제되고 조종되는 사회를 묘사한 바 있다. 대표적인 예로, 조지 오웰의 『1984』, 로이스 로우리의 『기억 전달자』, 영화로는 <매트릭스>, <브라질> 등이 있다. 그러나 나는 그곳 안에서도 삶이 존재하는 것을 본다. 아무리 사람들을 통제한다 해도 그곳에는 사랑이 있고, 저항이 있다. 이 두 가지를 모두 담은 책이 바로 『리치드』다.
앨리 콘디의 『리치드』 안의 디스토피아는 다른 매체에서 보았던 감시 사회와 많이 다르지 않다. 이 '소사이어티(흥미롭게도, 이 사회의 이름의 뜻이 바로 '사회'이다)'에서는 개인의 삶 전체가 거대한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고, 사랑조차 반려자로 정해준 이와 해야 한다. 이 불합리한 사회 밑에는 강력한 봉기 세력이 있다. 이 봉기 세력의 일원인 카시아는 소사이어티 소속인 카이와 사랑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들키는 날에는 양쪽 모두 무사할 수 없다. 마치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보는 듯한 아슬아슬한 연애는 전염병이 터지면서 크게 바뀌게 된다.
소사이어티와 봉기 세력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을 습격하는 전염병 때문에, 둘의 사랑은 방해되기 시작했고 결국 직접 만날 수밖에 없다. 인도자를 앞세운 봉기를 틈타 두 사람은 마침내 만나게 되지만, 돌연변이 전염병 때문에 카이가 쓰러지게 된다. 다음 일을 예측할 수 없는 이들의 사랑은 어느 방향으로 흘러가게 될까? 이 소설의 끝장을 덮게 되면,『리치드』는 결국 통제되는 사회와 죽음의 전염병 앞에서도 굴하지 않는 연인의 사랑을 주제로 한 소설임이 드러난다. 일단 카시아와 카이, 그리고 잰더를 화자로 하는 장이 번갈아 가면서 진행되는 형식만 보아도 그것을 짐작할 수 있으리라. 그리고 파란색, 붉은색 등 색깔이 상징적으로 등장하는 것을 보면 작가는 이 소설을 색채적으로 아름답게 꾸미고 싶었던 것이다. 나는 그 도전이 성공적이라고 본다. 나는 이 책에 대한 평들 중에 "『기억 전달자』를 떠올려라. 하지만 더 섹시하다."라는 평을 가장 인상적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그곳은 흑백의 세상이니까. 『리치드』는 『매치드』 시리즈의 3부작 중 마지막 작품이고, 각각의 작품은 색깔을 가지고 있다.
『리치드』는 붉은색이다. 나는 그것을 서로 만나고 싶어하는 연인들의 간절한 마음을 담은 것이라고 본다. 비록 나는 다른 시리즈를 보지 않았지만, 제목으로 그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1편 『매치드』는 'matched(만나다)', 2편 『크로스드』는 'crossed(엇갈리다)', 그리고 3편 『리치드』는 'reached(닿다)'이다. 마치 가문의 갈등처럼 어울릴 수 없는 두 세력, 봉기 세력과 소사이어티 사이에서 서로를 사랑하는 두 연인, 그들은 어떻게든 닿을 수 있기를 바랬으리라. 그 바람은 마침내 이루어졌고, 붉은 정원의 날의 약속은 성취되었다. 디스토피아의 결말이 해피엔딩일 수 있을까? 작가는 그 사회를 바꾸려 하지 않는다. 작가는 그 사회에 속해 있는 사람들을 바꾸었다. 차이는 단지 그것뿐이지만, 그 차이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는 것을 왜 나는 이제 알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