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식 - 행복의 중심
울리히 슈나벨 지음, 김희상 옮김 / 걷는나무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현대인들, 곧 우리는 눈코 뜰새 없이 바쁘다. 우리에겐 25시간이 주어져도 부족할 정도다. 옛날에는 이렇게 시간에 쫓기지 않고, 생체 리듬에 맞춰 여유롭게 살아갔던 현대인들이 왜 오늘날은 그렇지 못한가? 이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휴식』의 저자인 울리비 슈나벨의 나라, 독일을 비롯한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들도 이 해결하기 힘든 현상에 대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렇게, 날마다 시간에 쫓기며 쉼없이 일하고 움직여야 하고, 또 그러한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에 대해 저명한 저널리스트가 내린 처방전은 무엇일까? 바로 "쉬어라!"다.

 

 이 책에서 저자는 휴식만이 현대인들을 위한 유일한 처방전이자 해결책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휴식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비생산적인 시간이라는 선입견이 들어서면서, 이 주장에 대한 반박이 생겼다. 그래서 저자는 <위대한 게으름뱅이의 갤러리>와 3장 전체를 통해 휴식은 오히려 창의적인 생각을 하게 해주는 밑거름이며 결코 잃어버리는 시간이 아님을 강조한다. 게다가 나중에 밝혀지는 바와 같이, 『휴식』 역시 절반은 휴식의 일종인 산보를 통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물론 저자가 말하는 '휴식'의 개념이 상당히 모호하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다. 무엇이 휴식이고, 어디까지가 휴식인지 분명히 정해주지 않아서, 막연하게 "무조건 쉬어라!"라고 말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다. 하지만 휴식은 그 정의보다는 방법과 결과가 중요한 것이다. 쉬어서, 삶의 활력을 되찾은 것만으로도 휴식은 그 가치가 있는 법이다. 더구나, 매일 정보의 홍수 속에 파묻혀 사는 현대인들에겐 컴퓨터와 텔레비전을 치워버리라는 과감한 결단은 어떤 정의보다도 강렬한 외침이다.

 

 나는 시간에 쫓기고, 최신 정보를 찾느라 촉박한 시간을 허비하는 현대인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마음 같아서는 러셀의 『행복의 정복』과 세네카의 『인생은 왜 짧은가』를 권하고 싶지만, 시간이 없다고 핑계를 댈 테니까). 이 책에는 읽을 시간 없다는 핑계를 대는 직장인들을 위해 '그래서는 안 되지만' 에필로그에 이 책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해놓은 장이 있다. 이런 책을 정독할 시간조차 없는 사람은 정말 불행한 사람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