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의 초점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양억관 옮김 / 이상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제목부터 나의 흥미를 끌었다. 제로, 즉 0의 초점은 무엇일까? 0이라는 타원형 모양의 숫자에서 발견할 수 있는 초점이 무엇일까? 나는 그것을 제로 안에서 찾았다. 0의 중점이 바로 제로의 초점인 것이다. 무한하게 파고들어가는 그 중점이야말로 '제로의 초점', 그리고 그것은 이 소설의 주제와 정확히 들어맞았다.

 

 『제로의 초점』은 26살의 처녀 데이코가 우하라 겐이치라는 어떤 남자와 결혼을 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광고회사 호쿠리쿠의 지점장인 겐이치는 그녀보다 무려 10살이나 많다. 게다가 그 남자는 북국에서 왔고, 둘이 진정 사랑해서 결혼한 것도 아니기에, 데이코나 겐이치나 서로가 낯설 수밖에 없다. 그 와중에 겐이치는 출장을 가야 한다면서 떠났고,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 데이코는 뒤늦게 그가 실종되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그를 찾아다니기 시작한다. 남편이 남긴 몇 개의 흔적만을 찾아서.

 

 이상하게도, 그녀와 함께 수사를 돕는 이들이 하나하나씩 죽어갔다. 하지만 데이코는 자신도 죽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전혀 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녀는 그들이 자살인지, 타살인지 확인하고 자살이라면 왜 자살을 하는 지경에 이르렀는지, 타살이라면 누가 그를 어떤 이유로 죽였는지, 집요하게 추적한다. 마치 매그레 반장을 보는 듯 하다. 데이코는 형사도 아니고, 남편을 그리 사랑하지도 않는데 왜 이리 그렇게 깊이 파고들었을까? 그것은 진실을 알고 싶다는 그녀의 '집념' 때문이었다. 그래서 범인이 누군지 알아도 그녀는 범인을 체포할 수 없었다. 그녀의 의심과 추측이 자유분방하게 퍼져나가, 마침내 진실에 이르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의 저자 마쓰모토 세이초는 일본 추리소설의 거장으로 손꼽히는 사람이다. 그는 추리소설은 그 흥미와 트릭이 중요한 만큼, 현실성과 사회적 배경을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 소설에서는 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여 혼란에 빠진 한편 점차 그 위기를 극복해가려고 노력하는 1950년대 일본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옛날 노래들과 시들이 때때로 흘러나올 때, 우린 그 노래와 시가 무엇인지 모른다. 다만 즐기면 된다. 그 노래의 가사가 상당히 애처롭기 때문에. 데이코의 심리 상황을 가장 잘 설명하는 구절이기 떄문에.

 

 아마 현대 스릴러와 같은 서스펜스를 기대하는 사람이라면 『제로의 초점』이라는 추리소설을 읽고 실망할 것이다. "이게 추리소설 맞아?"하는 생각이 들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 책이 마음에 들었다. 지극히 현실적인, 우리의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스릴러는 흥미롭지만, 공감이 가지 않는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흥미롭고 놀라우면서도 나의 이야기인 것처럼 여겨졌다. 이것이 내가 이 소설에 대해 찬사를 던지는 까닭이다. 역시, 추리소설의 고전, 아니 전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