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학전집이 다양성을 띠어가고 있다. 똑같은 문학에 대한 올바른 번역도 중요하지만, 알려지지 않은 문학에 대한 발굴도 중요하다고 본다. 그 속에 담긴 숨은 걸작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떤 문학전집들은 각오를 하면서 제 3세계를 비롯하여 잘 알려지지 않은 작품을 발굴하는 데에 힘쓰기도 한다. 푸른숲 출판사가 9번째 책을 펴낸 '디 아더스' 시리즈도 그 중 하나라고 본다. 출판사의 설명에 따르면 이 시리즈는 출판사의 설명에 따르면, "소설 본연의 역할, 즉 이야기성이 뛰어난 작품을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현실을 무장해제시키는 기발한 상상력, 독특하고 인상적인 캐릭터를 바탕으로 탄탄한 내러티브를 갖춘 소설"들을 목적으로 하지만, 그 말은 곧 이야기성이 뛰어나다면 제 3세계의 문학,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의 책까지 모두 포용하겠다는 의미다.    

   

 우선 첫 번째 책은 괜찮았다. 디 아더스 시리즈의 기지를 잘 내비춰준다. '우울한 코브 마을의 모두 괜찮은 결말'이라는, 길면서도 약간 끌리는 제목. 마치 "이것이 디 아더스 문학의 느낌이다!"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 그리고 독자들에게 부담이 되지 않도록 소설집으로 첫 번째 책을 선정했다. 이것도 아주 좋았다. 문학동네 전집처럼 한꺼번에 책을 내는 경우가 아닌 이상, 첫 번째 책부터 2권짜리 장편소설(그것도 20세기에 유행한 의식의 흐름을 수법한 사용한 책)을 낸다고 하자. 독자들은 이미 그 시리즈에 대해 실망할 것이다. 아무래도 첫 번째 책이다 보니 독자들에게 부담감을 줄여주기 위해 미국 작가인 크리스토퍼 무어의 책을 선정했다. 그러나 분명히 크리스토퍼 무어가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은 사실이다. SF가 쓰여 더 흥미로운 책 같다. 

   

 김영하 작가의 어느 한 단편집의 제목을 연상시키는 이 소설은 '크리스토퍼 무어'가 아닌 '제프리 무어'의 소설이다. 원래 원제는 붉은 장미 의자인데, 번역자가 참 재미있게 제목을 지었다. 덕분에 많은 독자들이 이 작품에 끌린 것 같다(역시 제목의 힘이란). 정말 디 아더스 시리즈들은 제목과 표지가 구매에 중요한 역할을 미치는 것 같다. 작품성보다....... (하긴 카모메 식당은 일본 소설인 탓인지, 제목과 표지가 요리서 같아서인지 세일즈포인트가 가장 많으니...) 

  

 

 

  

 이번에 나온 아홉 번째 책인 『에드윈 멀하우스, 완벽하고 잔인한 인생』은 상당히 마음에 드는 책이다(표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