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최인호 지음 / 여백(여백미디어)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쓸 수 밖에 없는 운명이 소설가 모두를 구원하리라."
언젠가는 쓰여져야 할 소설이었다. 주인공 K의 현상을 보니 문득 '게슈탈트 붕괴현상'이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너무나 익숙하게 여겼던 단어를 계속 발음하면, 갑자기 그 단어가 생소한 단어로 여겨지는 현상. K가 겪은 것은 이런 현상과 유사하게 보인다.
소설은 단 3일 동안의 이야기만 다루고 있다. 토요일, 일요일, 월요일. 그러나 시간은 느리게 흘러간다. K의 의식과 기억이 계속 과거를 붙들고 있다. 지난 금요일, 과음으로 인해 잃어버린 기억이 K를 혼란스럽게 한다. 애용하던 스킨 'Y'의 상표가 하루 아침에 'V'로 바뀌어 있고, 어젯밤 '전야제'를 즐겼던 아내는 죽은 시체와 다름 없었다. 그뿐만 아니라, 딸의 강아지가 자신의 다리를 물고 그 때문에 달려온 딸 역시 낯선 존재로 여겨졌다. 어떻게 된 일인가?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는 매우 흥미로우면서도 심각한 문제를 제시하며 시작된다. 마치 그것은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그리고 『심판』과도 같은 것이다.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에서 주인공은 첫 문장부터, 보충 설명도 없이 사건의 주요 피해자가 된다. 『변신』의 주인공 그레고르는 '어느 날' 아침에 흉측한 벌레가 되었고, 『심판』의 주인공 요제프 K 역시 '어느 날' 체포되었다. 그레고르가 왜 벌레가 되어야 했으며, 요제프 K가 어째서 체포되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제시해주지도 않은 채. 그리고 가장 아이러니한 것은 그 근본적인 이유가 끝내 밝혀지지 않은 채 주인공의 죽음으로 끝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카프카의 작품은 '부조리'를 전제로 한 것이기에 그것은 합법적인 일이었다. 하지만 최인호의 소설은 다르다. 작가는 분명히 K의 현상에 대해 이유를 밝혀야 했다. 전반적으로 이 소설에 깔려 있는 분위기는 부조리가 아니라 혼돈이기 때문이다.
그 때부터 K는 여정을 시작한다. 지난 금요일 핸드폰을 잃어버린 K는 핸드폰을 찾기 위해 동분서주한다. 그 때만 해도 자신이 핸드폰을 찾기라도 하면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막상 핸드폰의 발견자인 '을'을 만나 핸드폰을 되찾아도 그 기억은 되돌아오지 않았다.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 하나를 던져보자. "만약 K가 지난밤의 기억을 되찾는다면, 이 모든 사건은 해결된 것인가?"
그렇지 않다. 한 시간 반의 기억을 되찾는다 하더라도, K가 겪는 '낯섬'과 '낯익음'의 모호한 현상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왜? 무언가가 본질적으로 틀렸기 때문이다. 그것은 강아지가 자신을 물었을 때부터 비롯된다. 강아지는 주인을 낯익은 사람을 물지 않는다. 낯선 사람이 자신의 주변에 있을 때 무는 것이다. 즉, 강아지가 K를 무는 행위는 K가 낯선 사람이며, 또 다른 K가 존재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기억할지 모르겠지만, K가 영화관에서 <눈먼 자들의 도시>를 보는 장면이 잠깐 나온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그저 하나의 사건으로 여기기 쉽지만, 최인호 작가는 은연 중에 이 소설의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다.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는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이 소설의 문체를 봐도 그렇다. K가 본 영화의 원작을 보면 알겠지만, 원작에는 '?'나 '!' 같은 '과격한' 표현이 없다. 이 소설도 마찬가지다. 즉, 소설은 매우 담담하게 그러나 매우 절실하게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 문체를 의도적으로 조절한 것이다. 또한, 내용에서도 그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눈을 멀고, 오직 의사의 아내만 눈을 뜰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이것 역시 그 이유가 없다). 마찬가지로,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의 주인공 K도 세상 사람들 중 유일한 존재로, '도플갱어'가 존재하는 인간이 되었다. 그리고 다시 그것이 합체하는. 한 가지 더 보태자면, 이 책은 카프카의 문체 역시 모방하고 있다. 무엇보다 인물의 이름이 없다는 것, K라는 '이름 아닌 이름'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심판』에 등장하는 요제프 'K'가 곧 '카프카'를 가리킨다는 주장이 있듯이, 주인공 K는 곧 한국의 중년 남자 전체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수많은 상징이 존재하여서 김연수 작가가 그런 말을 자신 있게 한 것일까?
결국 소설의 결말은 두 명의 K가 하나로 합쳐지는 장면으로 끝난다. 그 장면은 하나의 알파와 오메가이다. 한 남자 K의 짧은 여정을 한 마디로 무엇이라고 해야 할까? '뫼비우스의 띠'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겉만 보는 것 같지만 서서히 안을 파고들어가는 띠. 그것이 무한히 반복되는 순환 고리. 안이 낯익다가도 낯설게 되며, 밖이 낯설다가도 낯익게 되는 미지의 띠. 그것 말고 어떤 것이 이 낯익고도 낯선 여정을 대신할 수 있겠는가?
이 소설은 POWER ON 으로 시작하여 POWER OFF 로 끝난다. 하지만 그것이 진정한 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 모호한 여정은, K의 정체가 분명해지기 전까지는 결코 끝나지 않을 테니까. 오직 '봉'이 뫼비우스의 띠를 끊을 수 있으리라. 아직 그 띠를 끊지 못한 이 소설에서 믿을 수 있는 것이 몇 개나 될 것인가? 데카르트가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처럼 최인호는 이 소설에서 많은 것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K조차 분명하지 않다. 모든 것이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오직 하나, 분명한 것은 7시에 자명종이 필사적으로 울린다는 것뿐이다. 그것만은 계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