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셜록 홈즈 : 주홍색 연구 ㅣ 펭귄클래식 58
아서 코난 도일 지음, 에드 글리네르트 주해, 이언 싱클레어 작품해설, 남명성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셜록 홈즈와의 첫 만남
재작년 12월에 북폴리오 출판사에서 『셜록키언을 위한 주석 달린 시리즈』를 출판했다. 사실 그 책이 처음 나왔을 때 나는 그 책에 대해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는 셜록키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내가 셜록키언이 아닌 이유는 특별하지 않다. 한 번도 코난 도일의 작품을 읽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 나에게 이 소설은 하나의 기회였다. 셜록 홈즈가 누군지 알 수 있는 기회였던 것이다. 『주홍색 연구』가 셜록 홈즈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라고 하니, 연관해서 읽을 책도 없으니, 편하게 읽었다.
나의 기대는 충분히 이루어졌다. 이 소설은 충분히 재미있었으며, 코난 도일의 작품의 특징도 알 수 있었다. 셜록 홈즈와 왓슨의 기막힌 만남도 읽었고, 셜록 홈즈의 명추리도 보았다. 그래서 나는 이 추리소설이 참 마음에 들었다.
홈즈의 명추리와 코난 도일의 작품의 특징
셜록 홈즈와 왓슨은 추리소설 역사상 가장 유쾌하고도 환상적인 조합이다.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가했다가 부상을 당한 왓슨이 영국으로 돌아와 홈즈를 만나는 것으로부터 이 소설은 시작된다. 화자로 나선 왓슨의 눈으로 보았을 때, 홈즈의 모습은 '괴짜' 그 자체였다. 화학에 관심이 있다고 하지만, 워낙 괴팍한 실험을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독자 역시 홈즈의 아이러니한 모습을 작품 속에서 볼 수 있다. 왓슨은 분명 홈즈가 문학, 철학 등에 문외한이라고 서술해 놓았지만, 나중에 홈즈는 플로베르 같은 문학가를 인용하는 등의 재주를 보여준다. 평소에는 평범한 화학자였다가 사건이 벌어지면 전혀 다른 사람이 되는 걸까? 이런 진지하고도 즐거운 상상을 해 본다.
셜록 홈즈와 왓슨 조합만큼 유명한 것이 바로 홈즈의 명추리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홈즈의 명추리는 그다지 돋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독자들은 홈즈가 개를 죽이는 아이러니한 장면이 더 인상적으로 남을 것이다. 그의 본격적인 명추리는 그 다음 작품에서 확인하기로 하자. 우리는 이 작품에서 '홈즈의 명추리'보다는 '코난 도일의 작품의 특징'을 알 수 있다.
현재 일본에서는 추리 소설, 공포 소설 등이 활발하게 나오고 있다. 일본 역시 그것에 대해 많은 시상을 할 만큼 그 분야에 대해서 관심이 높다. 그러다 보니 국내에도 히가시노 게이고와 오쿠다 히데오와 같은 유명한 추리 작가가 전파되어 오는 것이다. 그런데 (히가시노 게이고를 제외한) 현대 추리작가들이 흔히 범하는 실수가 있다. 그것은 추리하는 데 열중한 나머지, 범인의 사건의 동기나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소설이 지금까지 꾸준한 독자층을 유지하는 이유도 이 작품의 재미뿐만이 아니라 그런 인간적인 면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그런 면에서 추리 소설에 인간 드라마를 만들어 내는 히가시노 게이고에 나는 제 2의 코난 도일을 기대해본다). 그리고 아서 코난 도일의 이러한 작품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낸 애니메이션이 바로 <명탐정 코난>이다.
셜록 홈즈와 명탐정 코난

일본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명탐정 코난>은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 시리즈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만화로, 일본뿐만이 아니라 국내에서도 인기다. 그런데 우리는 이 만화와 셜록 홈즈 시리즈와의 공통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우선 주인공 이름 '코난'은 당연히 셜록 홈즈를 탄생시킨 작가 아서 '코난' 도일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그리고 주인공의 본명 남'도일'은 아서 코난 '도일'에서 따온 것이다. 애니메이션의 내용 역시 사건을 밝혀내는 것에서 나아가, 범인이 범죄를 저지르게 된 동기와 이유를 설명하여, 범인에게도 연민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면은 <명탐정 코난 극장판: 베이커가의 망령>에서 더 두드러진다.

이 극장판에서 여주인공 '미란'은 계속해서 남도일과 놀이공원에 갔을 때, 그가 셜록 홈즈 시리즈 중 마지막 편에서 읽은 명대사를 회상하는데, 결국 그것이 이야기의 해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물론 <베이커가의 망령>은 현재 일본에 대한 비판 역시 등장하지만). 일단 실존 인물 잭 더 리퍼를 등장시킨 것만 해도 그렇다. 결국 나중에는 셜록 홈즈가 작품에 등장할 정도로, 이 만화 영화는 '셜록 홈즈' 시리즈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셜록 홈즈' 시리즈는 사랑받어왔다. 그리고 여기에 또 한 명의 셜록키언이 생겨난 셈이다. 앞으로 계속 나는 코난 도일의 작품을 기대하며 읽어나갈 것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