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19년 8월
평점 :
사랑이라는 단어가 주는 미묘함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른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오로지 인간됨의 기술만이 필요하다. 인간이라면, 좋아한다는 말과 사랑한다는 말의 차이, 감정적 이끌림으로 이루어지는 사랑과 이성이 결합된 종합적 형태의 사랑, 연애와 결혼의 차이 등을 능숙히 이해한다. 사랑하는 법을 모른다면, 배워야 한다. 자신만이 이해하는 방식을 사랑이라고 주장하거나 그것을 상대에게 강요한다면, 단언컨대 그 사람은 먼저 인간이 될 필요가 있다. 준비되지 않은 채 사랑을 시작했다가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지. 물론 사랑의 어려운 점이라면, 그것을 실패한 경험이 거의 전 인류에게 동일하게 해당된다는 것이리라.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에는 소위 말하는 '원하는 상대를 내 것으로 만드는' 기술 따위는 없다. 애초에 사랑은 그런 것이 아니니까. 나의 이상을 상대에 맞추는 것, 그렇게 함으로써 서로가 같은 방향을 걷게 만드는 것이 사랑이니까. 생텍쥐페리의 『인간의 대지』에 소개된 그 문장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리하여 프롬이 주장하는 사랑이란 궁극적으로는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사랑하는 사람, 주변 사람, 그리고 세상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나에게 가장 찔림이 된 말은 사랑하는 상대'만' 사랑하는 것은 진짜 사랑이 아니라는 말이었다. 흔히 우리는 착각한다. 오직 한 사람만 사랑하는 이들을 보며 참 순애보 같고 순수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것은 철없고 무모한 사랑의 방식이다. 진정 사랑을 할 줄 아는 사람은 세계를 사랑한다. <인터스텔라>에서 만 박사가 지적한 대로, 인간은 자기 자신과 가족의 안위 외에는 철저하게 무관심하다. 어쩌면 작중 세계를 위태롭게 만든 것은 바로 그러한 태도가 아니었는지 돌이켜 본다.
이 책은 수십 년 전에 쓰였지만, 물질만능주의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일침을 고하기도 한다. 현대에 사랑은 물질보다 분명 아래이다. 보이지 않는 가치가 감각으로 접해지는 가치에 잠식 당한 시대이다. 그러나 작가는 분명히 주장한다. 많이 갖고 있는 자가 부자가 아니라, 많이 주는 자가 부자라고. 상호호혜주의를 환상으로 치부하고 오로지 시스템으로 인간 세계를 구성하려는 수많은 노력이 있었으나, 그러한 세상은 오직 유리벽으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 속에만 존재해야 한다. 감히 사랑의 원리를, 인간 본능에 각인된 호혜의 원리를 원시적이라고 폄하하는 이들은 스스로를 견고한 유리벽에 가두는 자들이다. 때로는 손해를 보더라도, 때로는 실패하더라도, 때로는 자신의 인생이 조금 힘들어지는 것을 감수하고서라도 남을 돕는 것을 우리는 두려워 한다. 자신을 위해서라면 1원도, 1초도 소중히 여기면서 타인을 위해 쓰는 돈과 시간은 1원도, 1초도 아까워 한다. 나는 인간과 기계의 결정적인 차이점이 서로를 사랑하는가의 여부라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볼 때 세상에는 인간의 탈을 쓴 기계가 너무 많아 보인다.
그리고 자신을 성숙하다고 여기는 무리에게 한 번 더 비판을 던진다. 어린아이의 사랑은 '나는 사랑받기 때문에 사랑한다'라는 명제를 벗어날 수 없다. 진정 성숙한 사랑은 '그대를 사랑하기 때문에 나에게는 그대가 필요하다'라는, 먼저 사랑하는 마음이다. 그리고 에리히 프롬은 현대인이 자기 자신, 동료, 그리고 자연으로부터 소외되며, 수동적인 소비에 취해 있다고 지적한다. 여전히 우리는 사랑을 먼저 받기를 바란다. 그리고 한 번 그것을 받고 나면 거기에 안주해 버린다. 그 사랑을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 주어야 한다는 인식에 미치지 못한다. 그렇게 많은 지식을 접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받은 사랑을 다른 방식으로 돌려줘야 한다는 상상을 하지 못한다. 모든 인간다움이 고갈되어 간다.
그렇다면 해결책은 무엇인가? 진부하게 들리겠지만, 유일한 방법은 사랑이 회복되는 것이다. 단순한 감정적 이끌림도 아닌, 육체적 욕구의 해소도 아닌, 세계를 대하는 태도와 방향성의 변화가 그것이다. 아이는 자신의 주변 환경에 변화되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이사를 했을 때, 또는 이민을 갔을 때 어른들보다 적응을 어려워하거나 도피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마찬가지로, 현대인은 어른의 몸을 하고 있지만, 삶의 방식이나 가치관을 변화 시키는 것을 극도로 꺼려 한다. 자신이 보고 싶은 대로 보는 세상이 너무나 편하기 때문에, 이대로 지내도 별 문제 없다는 환상이 너무나 달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는 삶의 방향성을 바꾸어야 할 때이다. 당신이 알고 있는 세상은 그리 아름답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제는 당신이 그 세계로부터 받은 사랑을 돌려주어야 한다. 그리고 그 방법은 어렵지 않다. 양보하는 것을, 약간의 손해를, 잠깐의 시간 낭비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는 이미 많은 것을 잃었다. 사랑의 실패보다 더 두려운 것이 어디 있을까? 나의 일부를 내어주고 사랑을 얻는다면, 그것이야말로 물질적 가치로 환산되지 않는 가치 있는 교환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