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1987년 제11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이문열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199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 그러니까 정확한 연도도 기억나지 않았던 초등학교 시절, 다림출판사에서 간행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단행본을 읽었던 기억이 난다. 한병태의 시점에서 진행되었던 탓일까, 엄석대의 부정과 몰락이 통쾌하게 다가왔다. 그러다 불현듯 집에 꽂혀 있는 제11회 이상문학상 수상작의 이름으로 실린 이문열의 중편소설을 다시 읽게 되었다. 두 번째 독서에서는 조금 다르게 책이 읽혔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한병태의 내면에 잠재한 엘리트주의, 남들과는 다르다고 여기는 자의식이 만들어 낸 변명처럼 느껴졌다. 공동체의 상태를 파악하지 않고 혼자 모든 것을 바꾸겠다는 무모한 시도들, 패배한 이후 무섭도록 체제에 순응하고 거기서 살아남는 모습, 그리고 엄석대의 몰락이 시작된 이후 그것을 내심 아쉬워하는 태도 등이 새로운 해석을 열어놓았다. 


 문학은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라고 했던가, 수록된 작품들이 1980년대 내지는 한국 현대사의 일면을 담고 있음을 여실히 느꼈다. 시대간의 간격이 조금 크게 느껴졌다. 다만 대부분의 소설들이 낡은 느낌이 나지 않아 다행이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예리한 수상소감을 보는 것은 큰 즐거움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이문열의 소설 외에 인상적으로 읽혔던 것은 <문신의 땅>이었다. 심사위원도 지적했듯이 이야기의 맺음보다 전달하는 메세지가 워낙 강렬한 탓이기도 하다. 그 마무리가 명확하지 않은 것이나, 잦은 시점의 변화가 혼란을 야기한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노마리아의 문신이 한국 현대사의 상흔을 상징하는 느낌이라 각인된 듯 하다. 


 각 해의 이상문학상 수상작들은 일관된 흐름이 있다. 매년 요구하는 문학의 정신이 다른 것도 있고, 작가의 고투와 평단의 차이가 낳은 결과이기도 하다. 이것이 시대를 막론하고 이상문학상 수상작들을 찾아서 보는 매력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