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간만에 흔적을 남깁니다.

바쁘다는 핑계로 많이 게을러진것 같아 반성해봅니다.

처음 블로그를 개설할때는 의욕적으로 하루에 하나씩은 올려보자고 했었으나, 역시나

나태함으로 소홀했습니다. 앞으로는 열심히 활동하도록 하겠습니다.

 

그간 개인적으로는 책을 계속 봤습니다. 물론 목표대비 70%수준 밖에 안되지만..

그나마 한 것이라고는 책보는 것 밖에 없었네요... 간혹가다 괜찮은 다큐멘터리도 봤네요.

지금까지 책을 계속 보다 보니깐.. (물론 다독가처럼 많이 읽지는 않았지만..ㅎ)

느끼는 것은, 결국 고전을 찾게 되는거 같습니다.

 

특히 요즘은 역사,철학에 꼿혔습니다.

최근에 읽은 책을 보면...

작고한 남경태씨가 쓴 종횡무진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 시리즈를 다 독파했고

완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종횡무진 역사" 까지 읽었습니다.

이분을 알게된건 유투브 동영상에 여러 강의가 올라와 있는데, 입담이 논리정연하고 아주 재미있게 강의를 하더군요...

이분이 쓴 책을 보면, 기존 역사책하고는 다르게 다른 관점에서 역사를 기술하여

독창적으로 글을 풀었습니다. 추천합니다.

 

또한 지금은 중국 근현대사에 관심이 생기고 알고 싶어서

미국인인 에드거 스노가 쓴 중국의 붉은별을 읽었고, 지금은 김명호 교수가 쓴

중국인이야기 1~4권중 3권째를 보고 있습니다. 요걸 다보면, 에드거 스노 부인인

님 웨일즈가 쓴 아리랑을 볼려고 책을 사놓았습니다.

'김산' 이라는 인물이 어떤 사람인지 매우 궁금합니다.

 

결국은 제가 느끼는건, 역사란 승리자의 입장/관점에서 작성되는 것이고.. 

후대 사람인 우리들은 그걸 진실로 받아들인다는 거죠.. 

그러니 역사왜곡이 일어날 수 밖에 없고, 강대국의 논리가 역사의 이면에 존재하는거죠

알다시피, G2국가인 중국이 동북공정을 추진하는 것만 봐도 그들의 뻔한 속셈을

알수 있죠.

 

결국 역사를 만들어가는 것도 사람이고, 앞으로 만들어갈 역사도 사람에 의해서 정해지겠죠. 그러다 보니 요즘은 역사책을 보면서 그 시대의 인간들에 대해 주목하게 되더군요. 주의 깊게 보면 역시나 인간군상들의 행태와 심리는 예나 지금이나 달라지는게 없는거 같습니다. 물질문명과 과학기술은 획기적으로 발전을 했지만, 인간이야 그때나 지금이나 달라진게 없겠지요.. 그런것을 보면서 나는 어떻게 처신해야하고 어떤 마음가짐과 행동을 하면서 살아야 겠다고 많은 생각을 하게됩니다.

그런 측면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rktj 2016-06-14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먼저 좋은 책 추천 감사 드립니다.
추천해주신 책들... 거의 Best에 가까웠습니다.

역사에 관심이 많으시군요.

박경철 씨가 한 이야기 중에,
좋은 것을 얼마나 하는가 보다 나쁜 것을 얼마나 안 하는가가 중요하다고 했지요.

영어시험이 끝나고 책보다는 멀티미디어에 가까웠습니다.
사실 아무 생각하기 싫었던 부분도 있고...
그런데 오히려 마음이 휑하고 더 잡생각이 많이 들어서,
다시 생활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몇 일을 또 하니까 정신이 듭니다.

열심히 읽고 계시는군요.
저도 다시 매섭게 자신을 감시하겠습니다.

한 가지 습관을 가지려고 노력합니다.
˝ 나는 어제보다 얼마나 나은 인간이 되었는가? ˝
이것에 대한 주제로 저녁 때 매일 적어보고 있습니다.

책을 읽건, 사람을 만났건, 인내를 했건,어제의 저보다 나아진 모습을 적으면서
그 답에 맞게 하루종일 행동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질문에 답할 수 없다면,
자기 전에 1시간이라도 어제보다 나은 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다 못해 발굽혀펴기라도 하고 나면 어제보다 한결 나아진 것 같습니다.
특히 요새는 ˝관계˝에 초점을 맞춰서, 어제보다 나아지려고 고민 중입니다.
작고하신 신영복 선생님의 고민과 궤를 같이 합니다.

늘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