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리의 프랑스 학교 이야기 - 질문하고 토론하고 연대하는 ‘프랑스 아이’의 성장비결
목수정 지음 / 생각정원 / 2018년 6월
평점 :
홍세화 선생이 쓴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이후
프랑스 얘기를 전해준 분들이 여럿 있지만,
그 얘기들은 어떻게 된 게 들을 때마다 놀랍다.
목수정이 쓴 <칼리의 프랑스 학교 이야기>는
저자가 프랑스에서 딸 칼리를 키우며 알게 된, 그 나라의 교육현실 이야기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난 어김없이 놀랐고,
우리나라가 학생들에게 지옥임을 다시금 절감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선 초등학생이 중학교 과정을 배우는 게 우수한 학생이 되는 길이지만,
프랑스는 다르다.
목수정은 1학년 내내 구구단을 5단까지만 외우게 하는 등
학교가 별로 가르치는 게 없는 게 불안해 문제집을 사가지고 칼리에게 풀게 했다.
칼리가 싫은 티를 내자 학교에 가서 교사에게 조언을 구한 목수정은 뜻밖의 말을 듣는다.
“그 책은 당장 불태워버리세요. 집에서 문제집을 가지고 아이에게 추가적인 학습을 시키거나
선행학습을 시키는 행위야말로 공부에 대한 아이들의 호기심을 앗아가고
공부를 지겨운 것으로 만드는 최적의 방법입니다.” (141쪽)
이곳 역시 학습능력이 유달리 뛰어난 아이에게 월반을 권유하기도 하지만,
그건 우리나라에서처럼 “미래에 대단한 인물로 성장할 싹을 지녔”기 때문이 아니라,
그 아이로 인해 다른 아이들의 수업분위기가 망가질 염려가 있어서란다.
“성적이 좋다는 이유로 특별한 대우를 받지 않는다면, 공부를 잘하는 것은
한 아이가 갖는 특징 중 하나가 될 뿐이다.” (161쪽)
이런 곳에서 학교를 다닌다면 애들이 얼마나 행복할까 싶다.
그러다보니 다음과 같은 불평이 나오기도 한다.
“이런 유의 책들 뭐 어쩌라고? 프랑스로 이민가라고?” (어느 분의 100자평)
사회구조와 가치관이 다른데, 내 아이만 프랑스식으로 키우는 건 말이 안 되지만,
개인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것들도 여럿 있다.
아이를 아이로만 대하는 게 아니라 한 인간으로 대우해 주고
그의 고민에 공감해 주는 것,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 설명하고 설득하고, 선택의 범위를 제시하는 것 등은
의지만 있다면 우리나라에서도 충분히 가능한 게 아닐까?
물론 거기에만 그쳐선 안 된다.
이 책에 실린 내용들을 공유하고 또 널리 알리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 현실에 대한 개탄의 목소리가 커지고
프랑스를 부러워하는 마음이 확산된다면,
도저히 변할 것 같지 않은 우리 사회의 악마성에도 균열이 생기지 않을까?
프랑스를 우리나라에 알리는 목수정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