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은 역시 돈이 되는구나.”
<82년생 김지영>의 저자 조남주 작가의 신간에 대해 어느 분이 남긴 100자평이다.
원래 책을 내는 목적은 돈을 벌기 위함이다.
아무리 좋은 의도가 있다 해도 책이 전혀 돈을 벌어주지 못한다면
책을 낼 사람은 100분의 1로 줄어들 테니 말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게 욕먹을 일은 아니다.
범법행위가 아닌 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쫓는 행위를 비난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으니까.
그런데 어떤 분들은 그게 불편한지 저런 바보같은 댓글을 단다.
자본주의를 부정하는 이런 분들은 어서 북으로 좀 갔으면 좋겠는데 왜 여기서 이러는 걸까?
이런 댓글이 위험한 이유는 여기에 속아 생업을 때려치우고
페미니즘을 공부하는 분들이 있을 수 있어서다.
그래서 말씀드린다.
페미니즘은 그다지 돈이 되지 않는다.
페미니즘 책을 내고 관련강연을 하는 분들이 계시고,
조남주 작가님처럼 베스트셀러를 내신 분도 있으니 그리 보일 수 있지만,
그건 빙산의 일각일 뿐,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EBS <까칠남녀>를 보자. 여성의 목소리를 들려주려던 이 프로그램은
시종일관 남성들의 욕을 먹었고, 결국 사라졌다.
페미니즘이 돈이 된다면 이런 프로가 아주 많이 만들어졌어야 할텐데
그렇게 하는 방송국이 있는가? 없다.
-페미니스트 은하선은 서강대에서 강의를 하려다 학생들의 강한 반발에 직면해 강의가 취소됐고,
연세대에서는 강의 도중 시위 학생들이 난입해 강의가 중단되기도 했다.
심지어 연세대는 은하선을 부른 여총을 없애야 한다고 난리를 친다.
자, 사정이 이런데 페미니스트를 강사로 부르는 곳이 있을까?
있긴 있겠지만 마음을 단단히 먹어야 할 거다.
-그렇다면 책을 보자.
조남주 작가가 돈을 많이 번 건 맞다.
하지만 페미니즘 도서가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른 건 매우 이례적인 현상일 뿐이다.
지금까지 베스트셀러 1위가 뭐였는지 한번 떠올려 보자.
<미움받을 용기>,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무례한 사람에게 웃으며 대처하는 법>, <아프니까 청춘이다> 등등,
지금도 조남주 작가를 제외하면 순위권에 오른 페미니즘 책은 없다시피 하다.
-기타 장관이나 국회의원, 우리나라 100대 부자들, 기타 주요 인사들 중에 페미니스트가 있나?
없다.
만일 페미니즘이 꽃길이라면 연예인들 중에 페미니스트를 선언한 이들이 한둘이 아니겠지만,
막상 그런 사람은 페미니스트라고 하면서 페미니즘과 싸우는 유아인씨밖에 없고,
아이돌 그룹들은 행여 자신이 페미니스트로 몰릴까봐 전전긍긍한다.
<82년생 김지영>을 읽었다고 욕을 먹은 아이린을 보라.
일반인 여성들도 “저도 페미 싫어하지만”을 깔고 얘기를 시작한다.
이런 얘기를 해줘도 페미가 돈이 된다고 바보같은 댓글을 단다면
답은 둘 중 하나다.
첫 번째, 댓글이 돈이 되거나
둘째, 그 사람이 정말 바보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