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본주의 편의점 3 : 소비와 마케팅 ㅣ 자본주의 편의점 3
정지은.이효선 지음, 김미연 그림, 이성환 감수 / 가나출판사 / 2025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세 번째 만나는 자본주의 편의점은 금리와 이득 남매의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1권에서는 돈과 신용에 대해, 2권에서는 은행과 은행의 역사에 대한 경제 지식을 풀어주었는데, 과연 3권은 어떤 내용일까?

늘 신상을 외치고 다니는 우리의 고금리 양은 이번에도 시작부터 열심히 소비를 지향한다. 문제는 신상, 인기템, 1+1 등 눈에 띄는 것들을 족족 사드린다는 데 있다. 당장 금리가 가진 돈이 없음에도 금리의 소비는 멈출 줄 모른다. 급기야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핸드폰으로 결제가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금리는 물 만난 고기처럼 이것저것 멈추지 않고 소비를 하기 시작한다. 바로 과소비!!를 하는 것이다. 한 달 뒤 요금에 합해져서 나온다는 사실이 금리의 소비를 부추긴다. 처음에는 1+1과 80% 세일이라는 말에 혹해서 30만 원의 물건을 3만 원에 샀지만, 그에 만족하지 못한 금리는 또 다른 물건들로 주변을 채우기 시작한다. 남동생 고이득이 말려도 금리의 소비는 멈추지 않는다. 자본주의 편의점에서 구입한 백만 유튜버의 별사탕을 먹은 금리는 갑자기 쇼핑 유튜브 월드라는 별로 이동한다. 그곳에서는 영상의 파급력을 기준으로 유튜버들의 왕을 뽑는다. 사실 금리는 그전부터 유튜버로 활동했지만, 구독자 수는 5명이었고 그중 한 명이 남동생 이득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금리가 이동한 별에서 유튜브 왕이 되기 위해 금리는 또다시 무분별하게 쇼핑을 하기 시작한다. 금리의 바람대로 1등이 되어 유튜브 왕이 되기도 한다. 한편, 금리가 남긴 별사탕을 먹고 금리를 따라오게 된 이득은 금리의 소비에 경악하며 금리를 말린다. 하지만 소비를 1도 안 하는 이득은 별에서 쫓겨나 다시 자본주의 편의점으로 돌아오게 된다. 편의점 주인 조지 워싱턴 할아버지에게 누나 금리의 상황을 설명하는 이득.
누나를 구하기 위해 전기뱀장어 양갱을 먹고 다시 금리가 있는 별로 향하지만 누나는 보이지 않는다. 과연 이득은 금리를 찾을 수 있을까? 금리의 사건 이후로 왕짠돌이가 된 이득. 화장실 휴지도 한 칸 만 사용하고, 더운 날 치킨을 시켜 먹자는 엄마의 말에 극도의 반대를 한다. 과연 이득처럼 소비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과연 괜찮을까?
두 번째 장에서 이득은 자본주의 편의점의 자린고비 콜라는 마시고 조선시대로 향한다. 친구인 박지원과 박제가를 만나는 이득은 자린고비가 된 상황이다. 그때 시장에서 소비를 많이 한 죄로 잡혀온 여자아이가 있었는데, 아뿔싸!! 바로 누나 금리였던 것이다. 한 방울 남긴 자린고비 콜라를 마시고 이득을 따라온 금리. 금리의 죄명은 근검절약은 나라의 으뜸가는 덕목이고, 사치는 독이라 했는데 이것저것 시장의 물건을 많이 샀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에 대해 금리는 자신만의 논리를 펴 나가기 시작한다. 이어서 금리의 변호를 맡은 박제가가 등장한다. 자신의 친구인 자린고비 이득에게 한 가지 질문을 던진다. 모두가 자린고비가 된다면 과연 세상은 어떻게 될까? 이 물음에 자린고비 이득은 모두가 망하는 사회가 되고 말 거라는 예상치 못한 대답을 하고 마는데...
극단적인 과소비도, 주머니를 틀어쥐고 쓰지 않는 것도 문제다. 어떤 면에서 금리와 이득을 섞으면 딱!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이득이 정도는 아니지만, 나도 돈을 잘 안 쓰는 편이다. 지금도 신용카드보다는 체크카드를 주로 쓰고, 물건을 구매할 때도 고민을 한 번씩 하는 편이다. 아이들이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외식이나 인터넷 쇼핑을 자주 하게 되는데, 책에서 말한 것처럼 쇼핑몰을 들어가 보면 내가 검색했던 것과 비슷한 물건들을 띄워주거나 추천해 주는 경우가 많다. 이 또한 마케팅의 일종이다. 이 책은 어린이를 위한 경제교육 동화이다. 성인들 역시 내가 당장 필요하지 않은 것도 예쁘다고, 주변에 다 가지고 있기에, 내 기분이 좋지 않아서 등의 이유로 무분별하게 소비를 하는 경우가 많다. 어려서부터 경제교육 동화를 통해 이런 부분을 알려주고 그를 통해 제대로 된 경제관념을 갖게 된다면 여러모로 도움이 될 것 같다.
과연 자본주의 편의점 4권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무척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