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올 초대륙 - 지구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판구조론 히스토리
로스 미첼 지음, 이현숙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나는 영화의 장르 중 자연재해처럼 인간이 손쓸 수 없는 상황이 주가 되는 작품들을 좋아한다. 인간의 민낯을 마주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자연의 장엄함을 마주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지구과학에 대한 관심이 성인이 돼서도 지속되고 있다. 처음의 지구는 모든 대륙이 하나의 덩어리로 붙어있다는 이론인 판게아에 대해서 배운 기억이 있을 것이다. 판게아라는 용어가 떠오르지는 않아도, 해당 내용에 대한 기억은 있을 것이다. 그런 지구가 현재처럼 나뉘게 된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바로 이 책에 등장하는 판구조론이다. 사실 책을 읽으며 계속 떠올랐던 것은 지구도 하나의 생명체라는 생각이었다. 마치 난자와 정자가 수정되어 계속 분열을 거듭하면서 세포가 생성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인간의 모습으로 성장하는 것처럼, 우리의 지구도 다양한 물질들의 운동에 의해 움직이고 있고 결국 그 움직임의 결과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는 것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20억 년 후에도 지구는 현재처럼 5대륙 6대양의 모습을 하고 있을까? 바로 이 책에는 그 이야기가 등장한다.

늘 자연재해 영화 속에 등장하는, 혹은 미스터리물의 소재가 되는 지진이나 화산 폭발, 가라앉고 있는 일본을 비롯한 섬들, 불의 고리나 과거 내가 봤던 영화 샌 안드레아스 단층의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만날 수 있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그저 영화 속 장면에서 움직이는 정도만 보였던 이야기들이 그동안의 연구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되기 때문에 더 흥미로웠다.

특히 섭입(대륙을 구성하는 두 판의 충돌로 인해 한 판의 아래로 다른 판이 들어가는 현상)과 (진극)배회(지구의 단단한 껍질-지각과 맨틀-이 맨틀 아래에 있는 액체 외핵 주위를 전체적으로 회전하는 것) 라는 용어를 통해 서로 맞물리는 판들의 힘의 논리(?)에 의해 실제 우리가 눈으로 보게 되는 다양한 지구의 변화들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 주고 있는데, 섭 입을 통해 있던 바다가 사라지고 없던 산맥이 등장하는 내용은 한편의 다큐멘터리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의 제목인 초대륙은 과연 무슨 뜻일까? 솔직히 당황스러웠다. 한 덩이의 대륙이 나누어지는 것 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이 대륙들이 다시 붙는다는 사실 때문이다. (물론 대륙이 다시 연결되는 걸 볼 수 있는 사람은 안타깝게도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인류 중에는 없을 것이다. 오랜 시간이 필요하니 말이다.) 하지만, 적어도 이 책이 저자와 같은 연구자들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마주할 수 있는 것은 꽤 매력적이다. 물론 이 또한 100% 장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어가는 이론이기 때문이다. 과연 다음의 지구는 어떤 모습을 하게 될까? 정말 이 책에서 등장하는 것처럼 하나의 큰 땅덩이로 연결될까? 읽을수록 궁금함이 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