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는 만큼 보이는 세상 : 지구과학 편 - 읽다 보면 원리가 이해되는 일상 속 지구과학 안내서 ㅣ 아는 만큼 보이는 세상
양은혜 지음 / 유노책주 / 2025년 2월
평점 :

* 출판사로 부터 책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내 학창 시절을 돌아보면, 문과였지만 과학을 좋아하는 학생이었던 것 같다. 과학의 4과목 중에서 물리를 제외하고는 다 흥미가 있었다. 그 덕분인지, 성인이 되어서도 과학에 관한 책을 종종 읽게 된다. 특히 지구과학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흥미를 좋아했었다. 6학년 때 우리 반이 과학실 청소 담당이었고, 특히 나는 1인 1역(우리 학교는 모든 학생이 학급에서 한 가지 역할을 무조건 맡아야 했다.)으로 자료 담당을 하고 있었기에 자연스레 과학실 청소까지 이어졌다. 30년이 흘렀는데도, 여전히 기억에 남는 실험 중 하나가 직접 화산을 만들어보는 실험이었다. 모래 안에 약품을 넣고 기다리면 용암처럼 분출하는 내용이었는데, 청소하면서 선생님 몰래 우리끼리 더 큰 화산을 만들어보기도 했다.(지금 생각하면 혼날 만한 상황이다.)
이 책의 저자는 고등학교 과학교사인데, 이 책의 서문을 보면 지구과학을 학문이 아닌 우리 삶에 실제적인 궁금증으로부터 시작해 보자고 독려한다. 어떤 과목이든, 궁금증과 흥미로부터 시작하면 능률이 오르는 것처럼 지구과학 역시 우리의 실생활에서부터 시작해 보자는 말이 책 안에서 정말 이루어진다.
가령 작년 여름 에어컨 없이는 보낼 수 없었던 끔찍한 폭염과 열대야, 3월임에도 눈과 비 그리고 비바람 때문에 정신 못 차렸던 어제의 날씨, 지난달 새벽 지진이 났다는 재난문자(때문에 오히려 잠을 못 이루었던 일) 등 우리 주변에서 수시로 일어나는 많은 일들이 바로 이 지구과학의 범주 안에 있다는 사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서 현존하는 공룡 이야기(우리는 매일 공룡을 먹는다. 참고로 오늘 저녁 우리 집 메뉴도 공룡??이었다.)와 시계에 적혀있는 QRARTZ의 정체, 영화에 자주 출몰하는 불의 고리, 비행기를 타면 귀가 멍멍해지는 이유, 이순신 장군의 13척의 배에 숨겨진 비밀 등 이것도 지구과학이야? 싶은 질문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등장한다. 저자가 고등학교 교사라고 하지만, 이 책은 성인들이 읽어도 흥미로운 내용들이 가득하다. 지구과학을 알고 싶어서 읽기 시작했는데, 지구과학은 물론 다양한 상식의 수준도 올라간 기분이다. 참고로 앞에서 낸 문제 중 하나만 살포시 이야기하자면, 시계(내가 가진 상당수 시계에 이렇게 적혀 있었는데, 난 정말 저게 브랜드 명인 줄 알았다.)에 적혀있는 QRARTZ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쿼츠(QRARTZ)는 석영을 의미하는 것인데, 석영은 일정한 진동을 생성해 주기에 시간을 측정하는데 활용되는 광물이라고 한다.
책을 읽고 나니, 이 책이 시리즈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양자역학, 화학, 수학, 물리 편이 나와있다고 하니, 이참에 역주행을 해보고 싶어졌다. 앞으로도 화학, 생물 등 다양한 아는 만큼 보이는 세상 시리즈가 계속 나오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