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 역사 2 - 조선사 사물궁이
김명재 지음, 사물궁이 잡학지식 기획 / arte(아르테)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 부터 책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사소해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역사 편이 드디어 출간되었다. 일명 사물궁이 역사는 1권 근. 현대사, 2권 조선사, 3권 고려.고대사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 나는 2권을 읽었다. 역사를 좋아하지만, 읽다 보면 궁금하지만 어디 물어보기 쉽지 않은 질문들이 종종 생긴다. 이 책 안에도 그런 질문들이 상당히 많은데, 덕분에 궁금증이 상당히 해소되었다.

예를 들자면, 드라마를 보면 억울한 점이 있을 때 북을 울려 임금에게 억울함을 풀어달라고 청원하는 모습을 종종 봤는데 과연 실제로 신문고를 울려서 억울한 점을 해결했을까? 아쉽게도 드라마는 극적인 상황을 위해 그렇게 그린 듯하다. 실제로 신문고를 칠 수 있는 사건은 그리 많지 않았고, 대부분이 국가의 전복을 꿰하는 반역에 관한 일들의 경우만 신문고를 칠 수 있었다. 또한 우선 신문고를 울리기 전에 먼저 지역의 관청을 통해 억울함을 해결해야 했다. 나름의 단계가 있었던 것이다. 근데, 시간이 지날수록 신문고를 울릴 수 있는 사건들이 점차 줄었다고 하니, 역시 드라마는 드라마일 뿐인 가보다.

어제 아이들과 함께 오랜만에 경복궁을 다녀왔다. 나 또한 경복궁이 정궁으로 생각했기에 다른 궁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되었을 거라 생각했는데, 실제는 그렇지 않았다고 한다. 사물궁이에도 바로 그런 이야기가(왜 궁이 5개나 될까?) 담겨있었는데, 조선의 3대 왕인 태종도 주로 거주하던 궁이 경복궁이 아닌 창덕궁이었다고 하고, 상당수 왕들이 경복궁이 아닌 다른 궁에서 지냈다고 한다.(물론 임진왜란으로 궁의 상당수가 불에 탔기에, 선조 역시 머물 궁이 없어서 성종의 형이었던 월산대군의 집(경운궁)을 궁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어제 경복궁을 다녀오면서 시간이 맞아서 궁을 해설하시는 분의 이야기를 듣게 되었는데, 이 책에서 다루는 부분들이 상당수 등장해서 흥미로웠다. (가령 중국의 궁만 하더라도 궁 이름이 한자와 만주어 등으로 병기하는데, 우리는 한글이 있었음에도 왜 궁 이름을 한자로만 썼을까? 같은 물음) 그 밖에도 공주나 옹주는 시집살이를 했을까? 조선 사람들도 이사를 갔을까? 궁중악사가 왕 앞에서 연주를 실수하면 어떻게 됐을까? 조선에도 배달이나 제품 리뷰가 있었을까? 등 질문을 읽자마자 궁금해지는 것들이 책 안에 가득 담겨있다. 그중 하나 죄인이 사약을 먹고도 멀쩡하면 어떻게 될까?라는 질문은 이미 알고 있었음에도 흥미로웠다. 지금처럼 과학적으로 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형편이 아닌 조선은 의외로 불발탄 같은 사약도 있었다고 한다. 책 안에 등장한 임형수라는 사람은 사약을 18그릇이나 먹고도 죽지 않았다고 한다. 이 정도면 사약이 아닌 배가 불러서 죽었겠다 싶은데, 결국 임형수는 사약을 먹고 죽지는 못했다.

역사를 좋아하는 큰 아이 역시 이 책을 참 재미있게 읽고 있다. 어른뿐 아니라 아이들도 흥미를 가지고 읽을 수 있고 그를 통해 또 역사에 관한 흥미를 돋울 수 있어서 만족스럽다. 읽지 못한 다른 역사 편도 시간이 된다면 꼭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