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실의 새 - 나는 잠이 들면 살인자를 만난다
김은채 지음 / 델피노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빨간 눈을 한 새. 검은 깃털이 가득한 것이 까마귀같이 보였다. 흉조로 여겨지는 까마귀라서 그런지, 책 속에 담긴 이야기는 몸서리칠 정도로 잔혹하다. 작가 김하진. 그는 베스트셀러 여러 권을 가지고 있는 유명 작가다. 그런 그가 변호사를 찾아왔다. 최강운 변호사. 그가 그를 선택한 이유는, 형사소송 전문이기 때문이다. 사실 얼마 전부터 하진은 두려워지기 시작했다. 그가 두려운 이유는 단 한 줄의 댓글 때문이었다.

[네가 누군지 알아.]

이 한 줄이 도대체 하진에게 어떤 의미였을까? 사실 하진은 10살 이전의 기억이 없다. 그런 그가 요즘 루머에 휩싸이고 있다. 그가 쓴 소설 속 살인의 이야기가 너무 생생하고 적나라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그는 실제 살인을 저지르고 그걸 글로 쓴 게 아니냐는 루머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하진은 밝힐 수가 없었다. 혹시나 자신의 과거에 그런 기억이 있을까 봐서였다. 그래서 그 한 줄 때문에 그는 강운을 찾아온 것이다.

사실 하진은 자신의 꿈의 기억을 소설로 썼다. 갑자기 잠에 빠지거나, 뭔가가 필요할 때는 의도적으로 팔에 칼을 댄다. 그러면 그는 다시금 꿈같은 상황 속으로 들어간다. 꿈속에서 그는 늘 새의 모습이었다. 종류를 달라도, 그 새는 어딘가 사건이 벌어지는 곳에서 그 상황을 고스란히 지켜보고 있다. 그리고 그의 기억 속에 맺힌 장면을 글로 썼다. 그의 글에 독자들은 환호했다. 적나라한 살인의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그러던 어느 날, 경찰이 그를 찾아온다. 박지한 형사라는 그는 하진이 쓴 책을 들고 그가 쓴 책 속의 이야기가 실제 사건과 연결된 부분을 추궁하기 시작한다. 두려웠다. 하지만 실제 사건과 하진의 소설 속 이야기는 마치 실제 사건을 보고 쓴 것처럼 닮아있었다. 최변 덕분에 겨우 위기를 모면한 하진은 자신의 옛 기억의 시작점이 그곳. 만조리의 보육원으로 향한다. 다행히 만조리에 산다는 택시 기사 영길의 차를 타고 만조리로 향한 하진은 보육원이 사라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하루만 머물기로 했던 계획은 연장된다. 그리고 펜션과 편의점 알바를 하는 친구 진희를 만나게 된다. 하진은 진희를 기억하지 못했지만, 진희는 하진을 알고 있었다. 궁금했다. 과거의 자신의 모습이... 진희와 외국인 교사라는 준과 함께 술을 마시다 필름이 끊긴다. 역한 피비린내에 눈을 뜬 하진은 자신의 모습에 경악한다. 그리고 자신의 주머니에 들어있는 오토바이 열쇠. 갑자기 마을이 소란해진다. 얼마 전 들렀던 약사의 아들이 시체로 발견된 것이다. 근데, 머리가 없었다. 그가 타고 나갔던 오토바이 열쇠가 사라졌단다. 근데 그 열쇠가 하진의 주머니에 있었다. 정말 하진은 살인을 저지른 것일까? 그가 쓴 소설 속 이야기는 자신이 직접 저지른 살인의 일기였던 것일까?

이야기는 조금이 틈 없이 급하게 진행된다. 하진은 늘 살인의 장면을 마주한다. 그리고 그 모습을 지켜볼 때마다 새의 모습이다. 여경 미래의 할머니의 죽음도, 약사 아들의 살해 현장도 하진은 본 적이 있다. 그리고, 자신의 집에 들어온 최변의 모습까지도...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소설은 진행된다. 과연 하진이 가진 열쇠는 어떻게 풀려나갈까?

과거의 기억이 트라우마가 되어서 하진을 사로잡고 있었고, 그 모든 매듭은 갑작스럽게 풀어진다. 과거의 기억이라 해도, 하진이 꾸는 현실 속 살인의 장면은 어떻게 이해해야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